•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국감] LH 행복주택, 생활권과 동떨어져 입주자들 '외면'

평균 공실기간 354일, 수도권 보다 지방 공실률 3배 높아

  •  

cnbnews 박용덕기자 |  2020.10.07 16:05:07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국회의원(광주북구갑, 국토교통위원회)

-교육·교통·의료 등 정주여건 열악…신혼부부·청년 등 기피

LH가 신혼부부, 청년, 고령자 등 주거취약계층에 공급하고 있는 일부 행복임대주택이 교육, 교통 등 정주여건이 열악하고 생활권과 동떨어진 지역에 건립되고 있어 입주대상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국회의원(광주북구갑, 국토교통위원회)이 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6월 말 기준 전국 행복임대주택 107개 단지 5만 6,769세대 중 6개월 이상 비어있는 세대는 5,238세대(9.2%)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주택 공실률은 2018년 7.3%에서 2019년 3.6%로 줄어드는 듯했으나, 올해 다시 9.2%를 기록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LH가 공급하고 있는 다른 임대주택인 국민임대주택 0.7%, 영구임대주택 1.7%과 비교하면 월등히 높은 수치이다.

이런 현상은 수도권보다 지방이 더 심각했다.

수도권 지역 공실률은 서울 0.4%, 인천 2.5%, 경기(수도권) 5.1% 등 평균 3.88%인 반면 울산(21.5%), 경남(21.3%), 전북(19.1%), 경북(17.1%) 등 지방 공실률은 평균 11.39%로 수도권의 3배에 육박했다.

이와 함께 전국 공가 평균 지속기간도 354일(11개월 19일)에 달했으며, 심지어 충북 충주첨단 행복임대주택은 295세대 중 100세대(33.9%)가 1,264일(3년 5개월) 째 비어 있어 전국 최장기간 공실 행복주택인 것으로 확인됐다.

행복임대주택 전체 107개 단지 중 공실률이 10% 이상인 단지는 총 32개로 10∼20%(21개), 20∼30%(5개), 30%이상(6개)으로 나타났다.

이 중 11개(34.4%) 단지는 산업단지 내에 있거나 그 주변에 위치해 도심 생활권과 동떨어져 교통, 학교, 의료환경 등 정주여건이 열악했다.

버스 노선 수는 공실률이 10% 이상인 단지들이 평균 3.9대인데 반해 30% 이상인 단지들은 평균 2.5대로 공실률이 높을수록 교통여건은 더 열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인근 초등학교까지의 평균 도보거리(성인 기준)도 공실률 10%이상 단지가 12분인 반면, 20%이상(15.5분), 30%이상(20분)으로 교육여건이 안 좋을수록 공실률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의료환경에서도 응급실까지의 거리가 공실률 10%이상(5.7km), 20%이상(7.0km), 30%이상(7.9km)인 것으로 나타나 공실률이 높을수록 멀었다.

조오섭 의원은 “행복임대주택은 신혼부부, 청년 등 주거취약계층에 주거 불안 해소와 안정적인 주거공급을 목표로 하는 만큼 주거의 질적인 측면을 더 고려해야 한다”며 “행복임대주택은 ‘싼 게 비지떡’, 낙인효과 등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라도 생활기반 인프라가 확충된 도심권에 공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