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원자력노조연대 “신한울 3·4호기 건설, 즉각 재개” 촉구

원자력노조연대, 정부에 ‘원자력 노동자 고용 불안 즉시 해결’ ‘맥스터 건설 즉각 시행’ 등 요구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7.23 17:15:53

23일 오전 경주시청에서 원자력노조연대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촉구’ 기자회견을 연 가운데 노희철 노조연대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원자력노동조합연대 제공)

원자력노동조합연대가 23일 오전 11시 경주시청 본관 앞에서 에너지 정책 공론화와 신한울 3·4호기 건설의 즉각 재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앞서 원자력노조연대는 지난 14일 청와대 앞에서 탈원전 반대를 촉구하는 범국민 서명 64만 돌파 기념 기자회견을 연 바 있다. 이후 경북 울진에 이어 두 번째로 경주에서 ‘릴레이 기자회견’을 연 것이다.

기자회견에서 원자력노조연대는 “신한울 3, 4호기 건설 중단 때문에 7000억원 이상의 비용 손실과 두산중공업의 경영 악화에 따른 노동자의 순환 휴직, 명예퇴직 등 구조조정이 현실화되고 있다”며 “또 원자력 중소업체 가운데 계약업체 숫자가 3분의 1로 줄어드는 등 폐업이 속출해 원전 생태계가 붕괴하고 있다”고 어려운 현실을 호소했다.

또 기자회견에 참석한 노조연대 노희철 위원장은 “당초 어떠한 문제 없이 진행돼야 할 월성원전의 맥스터 사업도 정부의 무책임한 행위로 인해 경주지역의 갈등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상민 한전원자력연료노동조합 위원장은 “정부는 고용 안정을 얘기했지만 원자력 노동자는 되려 탈원전 정책으로 일자리를 빼앗기고 있다”고 울분을 터뜨렸다.

이날 원자력노조연대는 정부에 ▲국가 에너지 안보 보호와 원자력 생태계 유지를 위해 신한울 3, 4호기 건설 즉각 재개 ▲탈원전 정책 폐기와 에너지 정책에 대한 공론화 시작할 것 ▲정부가 야기한 원자력 노동자의 고용 불안 즉시 해결 등을 강력히 촉구했다.

한편 신한울 3, 4호기는 지난 2002년 전원개발사업 예정 구역으로 지정 고시된 이후 15년이 지난 2017년 산업부에서 발전사업 허가를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전력수급 기본계획에서 신한울 3, 4호기가 제외됐다.

 

23일 오전 경주시청에서 원자력노조연대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촉구’ 기자회견을 연 가운데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원자력노동조합연대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