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07.16 15:16:15
부산상공회의소(부산상의)와 창원상의가 16일 지역민 교통 편익 향상을 위해 ‘부전-마산 복선전철’ 운영과 관련해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국토교통부 등 정부 부처 13곳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사업은 부산 부전역과 창원 마산역 사이 9개역 총 50.3㎞의 복선전철을 운행하는 사업으로 내년 상반기 개통을 앞두고 있다.
해당 노선이 개통하게 되면 기존 부전역과 마산역 간 이동시간이 기존 평균 93분에서 38분으로 1시간가량 단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상의와 창원상의는 건의문을 통해 “국토부가 타당성 조사 단계에서 전동열차 운행을 계획했으나 이후 해당 자치단체와 협의 없이 준고속열차 도입으로 변경함에 따라 열차 배차 간격도 20분에서 90분으로 늘었다”며 “운임도 증가해 당초 계획했던 지역민의 교통 편익 제공이 크게 훼손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현재 예정된 준고속열차와 병행해 전동열차 운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양 지역 상의는 강조했다. 특히 “이 사업이 국가철도사업으로 추진해 노선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동열차의 추가운행이 불가피한 만큼 추가 시설비와 운영비를 중앙정부가 국비로 전액 부담해 주길 바란다”고 강력히 건의했다.
국토부는 이번 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의 건설비 일부와 운영비 전액을 해당 지자체에 전액 부담할 것을 주장한 바 있다. 이에 양측 상의는 “운영비를 지자체 몫으로만 둔다는 것에 지역민 사이에서 수도권에 비해 재정이 열악한 지방정부를 되려 역차별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허용도 부산상의 회장은 “현재 수도권 집중의 폐해를 완화하기 위해선 권역별 특색에 맞는 광역경제권 구축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는 역내 교류를 뒷받침할 수 있는 촘촘한 광역교통망 설계가 선행돼야 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부전-마산 복선전철은 동남권 메가시티를 향한 중요한 인프라다. 그런 만큼 사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중앙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