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덕기자 |
2020.06.16 17:25:31
-광주형일자리 전국 1호 지역상생일자리 선정
최근 광주형 일자리 자동차공장 합작법인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경영 독립성 보장을 촉구하며 ‘외부 간섭 배제’를 결정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다.
광주시의회 김광란 의원(광산4, 신가·신창)은 16일 시의회 정례회 시정질문을 통해 “지난달 GGM 주주들이 주주총회에서 ‘외부기관의 어떠한 경영간섭도 있어서는 안된다’고 결의했다”며 “주주총회에서 이런 결의안이 나온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광주형 일자리는 지역상생형 일자리로 광주시가 투자를 했고 국비 보조와 함께 앞으로 더 많은 투자를 받게 된다”며 “광주시와 시민사회를 외부자로 보는 시각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광주글로벌모터스는 노사민정 대타협에 기반한 상생형 일자리”라며 “상법상 주식회사로 치부하고 소유권과 경영권이 나뉘어 있으니 경영에 간섭하지 말라는 말에 광주시가 꿀 먹은 벙어리가 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GGM 대표이사는 경영 간섭을 논할 것이 아니라 경영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오히려 광주시와 노동계, 시민사회까지 대화의 당사자로 인정하고 경영 책임자로 함께 나서달라고 요청해야 한다”며 “그래야 사회적 신뢰가 쌓이고, 상생일자리의 출발점이 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광주형 일자리가 누구의 것인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상생형일자리 1호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갈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시정질문을 준비했다”며 “광주글로벌모터스를 단순 투자기업에 묶어두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GGM의 발표는 적절하지 못했다. 발표하지 않았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며 “광주시나 노사민정협의회가 그동안 GGM 경영에 불필요한 간섭을 한 적이 없는데 왜 이런 발표를 했을까 매우 의아하게 생각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