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조사원이 지난해 이어도 주변 해역의 해저 퇴적물 조사를 진행해 발견한 암석 조각을 분석한 결과, 이어도가 과거 화산폭발로 생겨난 화산체임을 밝혀냈다.
이어도는 우리나라 최남단 마라도에서 남서쪽으로 149㎞ 정도 떨어져 있으며 현재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가 위치해 있다.
28일 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수심 약 56m에서 채취한 해당 암석 조각은 화산분출물이 쌓여 굳어진 응회암으로 층리 구조와 조개류가 서식한 흔적으로 추정되는 다수의 구멍이 있었다.
응회암에 나타난 층리 구조는 화산이 분출될 때 화산재 등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층으로 이어도가 화산기원 암석층임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또 암석 표면에 있는 직경 1㎝ 내외의 구멍들과 그 구멍을 만든 조개류 껍데기, 산호초는 화산체 일부가 파식 대지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이어도가 과거 해수면이 낮아졌던 시기에 대기에 노출됐다가 다시 해수면이 높아지며 해저 화산체로 남게 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해양조사원은 설명했다.
해양조사원 이은일 해양과학조사연구실장은 “이번 연구에 이어 앞으로는 이어도와 제주도 간 지질학적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도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