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에 발생한 부산시 사하구 구평동 산사태의 원인이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인위적인 흙쌓기 비탈면이 붕괴한 점과 24시간 동안 내린 비로 인한 석탄재 내부 침식 등 때문이다.
부산시는 지난해 10월 3일 발생한 사하구 비탈면 붕괴사고에 대해 그해 11월부터 원인조사·보강대책 용역을 ㈔대한토목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를 통해 진행해 그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붕괴지는 과거 산림지역이었으나 이를 군부대 연병장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석탄재를 매립했다. 전반적으로 석탄재 매립층과 폐기물, 슬래그 혼재토사층(토사와 부피가 큰 석탄재가 섞여 있는 지층)으로 돼 있어 일반적인 산사태가 아닌 성토사면 붕괴로 판단했다.
이와 함께 통계적으로 당시 붕괴 전날 오전 3시부터 당일 오전 3시까지 24시간 동안 97㎜의 비가 내려 오랜 기간 석탄재의 내부 침식 및 옹벽의 배수기능 상실 등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도 원인으로 꼽혔다.
선행강우와 붕괴 당일에 내린 강우에 의한 물리적, 역학적 성질 변화에 따라 전단강도(경사지의 취약한 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저항하는 힘)가 감소해 한계상태에 도달한 뒤 원호활동(쌓은 비탈면이 원을 이루며 움직이는 현상) 파괴로 붕괴된 것으로 결론 났다.
대한토목학회 부울경지회는 복구에 앞서 응급방안으로 강우 시 지표수가 성토체나 원지반 내로 직접 유입돼 비탈면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성토사면을 최대한 완화해 표면보호막과 하단부 옹벽 일대에 마대 설치 등을 제시했다.
대한토목학회 관계자는 “현재 성토사면의 석탄재가 추가 사면붕괴와 지반침하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우기와 집중호우에 따른 지반 거동에 대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며 “항구적인 복구를 포함한 사면 보강작업이 시급한 상태다. 따라서 성토사면 붕괴지 복구가 여러 문제로 시기가 늦춰질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등 위험성을 고려해 계류 하부 주민의 재산과 안전을 보호하는 사업을 우선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