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코로나19 확산 시기 자사 택배를 통해 배송된 상품 1억8000건을 분석한 결과 생수와 라면 등 비상물품에 대한 ‘사재기성 주문’이 3일(2월 21~23일)간 ‘반짝’ 진행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관련 물품이 안정적으로 배송되기 시작한 이후 주문량이 줄어들면서 안정세로 돌아섰다. 국내에서 사재기가 확산되지 않고 ‘반짝’ 현상에 그칠 수 있었던 데는 안정적 택배 시스템이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CJ대한통운은 자사 택배 송장 정보를 바탕으로 CJ올리브네트웍스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활용해 2월1주~3월2주(2월1일~3월14일) 1억8000건에 해당하는 물품 데이터 분석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코로나19 31번 확진자가 발표된 2월 18일 이후 온라인 주문량이 크게 늘었다. 31번 확진자 발생 직후 코로나19의 장기화 불안감이 투영된 2월 4주(23~29일)에 생수, 라면, 통조림 등 비상물품 주문량은 전주 대비 3배 가까이 늘었다. 주말 물량이 통상 월요일에 송장 정보로 등록되는 점을 감안하면 31번 확진자 발생 이후 첫 주말인 2월 21~23일 주문이 몰린 것.
그러나 이른바 2월 4주 비상 물품 ‘온라인 사재기’ 현상은 해당 물품에 대한 안정적 배송이 지속되면서 곧바로 사그라지기 시작했다. 2월4주 전주대비 2.5배 가까이 늘어났던 라면 배송량은 3월 1주(1~7일)와 2주(8~14일)에 각각 39%, 33%의 감소세를 기록하며 안정세로 돌아섰다. 2월 4주에 2.5배로 늘었던 생수의 경우에도 각각 41%, 25%씩 줄면서 평시 수준으로 선회했다.
CJ대한통운 측은 2월 3주차 주말부터 주문량이 크게 늘었지만 물품 배송이 원활하게 이뤄진다는 점을 확인한 소비자들이 빠르게 안정감을 되찾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후에도 오프라인 사재기가 없었고 비상물품은 줄어드는 대신 일상적인 물품에 대한 온라인 쇼핑이 늘었다는 점은 ‘택배가 사재기를 막았다’는 분석을 뒷받침하는 데이터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