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가 그동안 부산항 코로나19 감염 차단과 업계 지원에 중점을 두고 운영한 코로나19 비상대책본부를 중장기적 및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내달 1일부로 ‘전사적위기관리체제’로 전환한다고 31일 밝혔다.
BPA는 지난 1월 주의단계로 운영하던 ‘코로나19 상황반’을 그달 27일 경계단계로 격상함에 따라 ‘코로나19 비상대책반’으로 격상 운영했다. 그러다 지난달 25일 심각단계로 격상하자 ‘코로나19 감염확산에 따른 비상대책본부’로 확대 개편해온 바 있다.
이번에 남기찬 사장을 단장으로 한 ‘코로나19 전사적위기관리체제’는 향후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제물류체제의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부산항의 지속가능한 성장 점검과 경영자원 조정에 중점을 뒀다.
이번 체제는 크게 ▲정부 재정집행 사업 등 정부 정책 적극 이행 ▲부산항 경쟁력 저하 방지, 항만시설의 차질 없는 개발·운영 ▲사업과 예산의 우선순위 조정, 비상자금 확보에 중점을 뒀다.
이를 위해 BPA는 국내외 수출입화물의 신속·정확·안전한 하역, 글로벌 환적 물류 네트워크 점검 강화, 국내외 선사 경영전략·동향 실시간 파악, 불요불급 예산 지양, 사업 속도 조절, 예산 10% 조정해 비상자금 확보 등에 나선다.
남기찬 사장은 “세계 시장의 불확실성이 나날이 커지는 가운데 부산항은 우리 기업의 수출입을 지원하고 글로벌 환적 거점으로 역할을 다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코로나19 감염증 사태가 불러올 광범위한 위기를 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