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2030 도시재생 전략계획' 수립… 6개 권역·활성화 지역 92곳 지정

오는 2030년까지 매년 7~8곳 활성화 계획 수립 예정… 국가지원사업 통한 전 지역 도시재생 가능 전망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3.25 09:24:27

부산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지정 현황도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도시재생사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정부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 부산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변경 수립했다고 25일 밝혔다.

주요 내용은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향후 10년간 전략적으로 추진할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지정하는 안을 담았다.

이번 전략계획은 주민 공청회, 전문가 자문, 관련 기관 의견 협의 등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와 도시재생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먼저 시는 현재 뉴딜사업 권장 면적에 맞게 기존 전략계획 지역을 분할, 축소해 현실화하고 '구·군 도시 쇠퇴진단'과 주민 의견을 반영해 도시재생 의지가 높은 지역 92곳을 우선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정했다. 사업이 진행 중인 16곳을 포함해 부산의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총 108곳이다.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유형은 ▲경제기반형 7곳(쇠퇴한 산업기능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 ▲중심시가지형 16곳(역사, 문화, 관광자원을 활용해 지역 상권 활성화) ▲일반근린형 25곳(주민공동체 활성화와 골목상권 활력 증진) ▲주거지 지원형 44곳(노후 주거지 정비와 생활 여건 개선)으로 구성됐다. 또 그동안 재개발, 재건축 지역으로 지정됐지만 실행되지 않았던 12곳도 새롭게 포함돼 뉴딜사업을 추진할 여건이 마련됐다.

이와 함께 시는 공간전략으로 부산 전역을 서, 중, 동부산 3개 생활권으로 나누고 생활권마다 2개의 재생구역을 둬 ▲강서 ▲강동 ▲원도심 ▲동래 ▲동부 ▲기장 6개 재생권역을 설정했다.

시는 지역별 인구, 사업체 수, 노후주택 등 쇠퇴지수와 잠재력 분석에 따른 우선순위에 맞춰 1~3단계로 구분해 오는 2030년까지 매년 7~8개의 활성화 지역에 국가지원을 받아 도시재생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