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미리 보는 주총②] 코로나19로 주총 대란 오나

주총 앞둔 백인백색 풍경 살펴보니

  •  

cnbnews 손정호기자 |  2020.03.05 10:26:29

3월 주주총회 시즌이 다가오고 있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코로나19로 3월 주총이 어려운 기업들을 배려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서울 삼성역의 방역작업 모습. (사진=연합뉴스)

주주총회 시즌이 다가오고 있다. 기업들의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는 전자투표제 확산,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자율지침) 등 주주권 강화가 화두로 떠오를 전망이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되면서 주총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할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CNB는 시즌에 맞춰 분야별로 주요 이슈를 연재하고 있다. 이번 편은 코로나19 영향으로 혼란을 빚고 있는 주총 상황을 들여다봤다. (CNB=손정호 기자)

 

[관련기사]

[미리 보는 주총①] ‘코로나19’가 국민연금 가는길 막나

 


주총장 방역 강화하며 코로나19 대비
일부기업은 주총연기 등 자구책 마련
대주주 지분 낮은곳은 엎친데 덮친격


12월에 결산을 하는 법인은 사업을 종료한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사업보고서를 금융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이 기한을 어기면 제재를 받게 된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대부분 12월에 결산을 하기 때문에, 3개월 이내인 3월 안에 주총을 열어 안건을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빠르게 번지면서 3월 주총이 흔들리고 있다. 보건당국에 의하면 5일 현재 우리나라 확진자는 5621명, 사망자는 36명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금융당국도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법무부 등과 함께 감염병으로 이달에 주총을 진행하기 어려운 기업들을 배려하기로 했다. 주총을 오는 4월로 미뤄 보고를 늦게 해도 제재를 하지 않기로 했다. 4일 기준 총 4곳이 이를 신청했다. 물론 이 경우에도 1분기 보고서 제출기한(5월 15일)까지는 이를 완료해야 한다.

이처럼 금융당국이 긴장하는 이유는 대부분 이달에 주총이 열리기 때문이다.

4일 한국상장사협의회에 의하면, 오는 25일 가장 많은 기업들(130곳, 기업은행·녹십자·동아쏘시오홀딩스·미래에셋대우·신세계·엔씨소프트·한화·현대백화점·현대제철·현대중공업지주·BGF리테일·CJ CGV·HDC현대산업개발·NH투자증권·SK·SK네트웍스 등)이 주총을 열 계획이다.

27일(115곳, 대상홀딩스·사조대림·삼양홀딩스·롯데쇼핑·포스코·풀무원·크라운제과·한국지역난방공사·현대상선·AK홀딩스·CJ제일제당·GS건설·LF 등), 20일(101곳, 농심·삼성물산·삼성중공업·유한양행·종근당홀딩스·효성·해태제과식품·GS리테일·KB금융·LG생활건강·LG화학·SK하이닉스 등)도 분주한 날이 될 전망이다.

또 30일에는 47곳(두산·포스코인터내셔널·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현대리바트·CJ·CJ대한통운 등), 24일은 41곳(기아자동차·두산인프라코어·동원F&B·신세계인터내셔널·한화투자증권·현대홈쇼핑 등), 19일은 37곳(삼성생명·삼성카드·오리온·한화손해보험·호텔신라·현대자동차·현대글로비스·현대차증권 등)이 주총을 연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이달 주주총회를 열어야 하는 기업들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주총장에 손소독제를 배치하는 등 방역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전자투표제도도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투표 시스템 모습. (사진=연합뉴스)

감염병 대비책은?

현재 대부분 기업들은 일정대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예년과는 다른 준비를 하고 있다.

우선 방역을 강화한다. 삼성전자는 오는 18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주총을 연다. 컨벤션센터 앞에 열화상카메라와 체온계를 배치할 예정이다. 의심 증상자를 체크한다는 것. 손소독제와 마스크를 나눠주는 등 다양한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다.

전자투표도 강화하고 있다. 직접 주주권을 행사하러 나오기 어려울 경우, 집에서 컴퓨터로 투표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 주총일 하루 전까지, 10일 동안 인터넷으로 미리 투표할 수 있다. 삼성전자가 올해 처음 이 방법을 시작한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백화점그룹은 올해 모든 상장 계열사에서 이를 활용하게 했다.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공시하기도 한다. 위험성을 미리 숙지시키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LG전자는 오는 26일 여의도 트윈타워에서 주총을 여는데, 사전에 코로나19로 일정이 변경될 수 있다고 고시했다.
 

올해 주주총회는 코로나19로 인해 혼선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시선과, 힘든 측면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서울 서초사옥에서 열린 삼성전자의 주주총회 모습. (사진=삼성전자)

진짜 대란? 엇갈리는 전망

정말 대란(大亂)이 올까. 전망은 반반으로 갈린다.

일단 위험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시선이 있다. 먼저 위험이 한풀 꺾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주총은 대부분 이달 3~4째 주에 집중돼 있다. 아직 한두 주 정도 시간이 남아있는 셈이다. 이 기간 동안 확진자 증가 속도가 줄어들 경우, 개최 부담이 적어질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의 우리나라 치사율이 1% 정도로 낮다는 점도 안심요인이다.

이어 대주주의 지분율이 높은 경우다. 주총을 성사시키려면 총 25% 지분이 참여해야 한다. 참석자 3분의1 이상이 참석하면 정관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대주주의 지분율이 높으면, 소액주주들의 참여 여부와 상관없이 주총을 진행할 수 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작년 9월 기준)에 의하면, 삼성전자는 삼성생명(8.51%), 삼성물산(5.01%), 이건희 회장(4.18%), 삼성화재(1.49%) 등 대주주와 특수관계인 지분이 21.23%다. 현대차도 높다. 현대차의 경우 현대모비스(21.43%), 정몽구 회장(5.33%), 정의선 부회장(2.35%) 등 총 29.11%다. LG전자는 지주사 LG(33.67%) 등 총 33.68% 수준이다.

재계 관계자는 CNB에 “코로나19로 일정을 바꾸겠다고 나선 대기업은 아직 없다”며 “다양한 시나리오를 마련해뒀지만, 시간이 남아있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주총 자체가 위험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현재 많은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재택근무 등 감염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오는 23일로 초·중·고등학교 개학이 연기되는 등 확진자가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커졌다. 주주들 중에 면역력이 약한 고령층이 많다는 점도 우려요인으로 꼽힌다. 주총장에서 추가 감염자가 나올 경우, 경영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주주 지분율이 낮은 기업일수록 주총을 연기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주주의 지분율이 낮으면 주총 요건(참석자 요건)을 갖추기 힘들 수 있다. 이럴 경우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연기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대한 소액주주들을 모아야 하기 때문이다.

민감한 사안 처리는 더 어렵다. 감사나 감사위원을 새로 선임할 경우, 대주주 지분율이 3%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만큼 다른 주주들의 찬성이 필요한데, 이번 사태로 참석이 저조할 경우 이런 안건은 처리가 힘들 수 있다.

재계 관계자는 CNB에 “기존에도 주총을 열거나 주요 안건을 통과시킬 수 있는 기준이 너무 까다로워서 힘들다는 목소리가 높았다”며 “그런 가운데 전염병까지 겹쳐서 고난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NB=손정호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