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경제, 산업 체질 전환을 위해 신제조업의 기반으로 탄소융복합소재부품을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연구원은 16일 BDI 정책포커스 ‘부산의 신제조업 기반, 탄소융복합소재부품’ 보고서를 발표하고 탄소융복합소재부품 육성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해당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라 기술, 산업 간 경계가 사라지는 등 패러다임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부산의 경제, 산업 체질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신산업혁명의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디지털, 친환경이 기술 산업에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신제조업과 신서비스업의 육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배수현 연구위원은 “금속 중심의 기간소재가 경량소재로 바뀔 전망임에 따라 탄소융복합소재부품산업을 부산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4차 산업혁명 도래로 탄소융복합소재부품 등 경량소재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돼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총 7조 9600억원을 투자해 탄소, 티타늄 등 경량, 첨단소재 육성에 나설 계획이다.
배수현 연구위원은 지역 탄소융복합소재부품산업 육성을 위해 ▲탄소소재 클러스터 지정으로 성장 기반 마련 ▲동남권 주력 제조업 연관 분야 특화 ▲탄소융복합소재부품 산학연 연구협력 강화 ▲기술사업화 전문기관 설립으로 사업화 확대 ▲동남권을 탄소메가벨트 거점으로 육성 ▲국제협력사업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킹 강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배 연구위원은 “탄소융복합소재부품산업 육성을 위해 클러스터 조성이 필요하다. 부산의 산업, 지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사상을 거점으로 육성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동남권을 탄소융복합소재부품 수요시장으로 육성하기 위해선 동남권의 주력 제조업인 항공, 자동차, 선박 등 수송기기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수송기기용 소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그는 “신소재를 부산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기 위해선 산학연 협력이 가능한 연구개발 협력 체계가 잘 만들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개방형 연구소 체계인 부산탄소융복합소재부품연구소 설립이 필요하다”며 “동남권을 탄소메가벨트를 선도하는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선 동남권의 탄소융복합소재부품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