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19.08.08 10:33:27
부산시가 최근 부산시민공원 재정비촉진조합이 제출한 대안이 시민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8일 밝혔다.
현재 시민공원 주변 고층 아파트 개발 계획은 주변 상황에 비해 과도한 규모로 계획돼 공원이 본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난개발 우려로 그동안 시민의 반대에 부딪혀왔다.
이에 시는 지난해 12월 시민공원 주변 재정비 촉진사업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시의원’ ‘도시계획’ ‘건축’ ‘환경’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 16명의 시민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지난 4월 자문 결과를 발표했다.
시는 자문 결과를 바탕으로 재정비촉진조합 측과 새로운 대안을 모색했다. 그러나 최근 조합 측에서 제시한 건축안이 시민 공공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대안으로 시는 판단했다.
시민들이 가장 우려했던 건축 계획의 층수 조정과 용적률은 시민자문위원회에서 제시한 자문 결과의 30~50% 정도에 머무는 수준으로 공원의 영구 음영 비율도 15.5%로 이전과 별 달라진 게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문위 자문 결과에 따르면 설문조사 응답자의 89.9%가 고층 아파트 건설은 45층 미만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 또한 조합의 새로운 건축안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시는 조합 측의 준비가 끝나는 대로 오는 15, 16일 양일간 건축정책위원회 위원과 조합원으로 구성된 ‘민·관 공동건축 설계검토 회의’를 열어 대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여기서 나오는 대안을 조합 측이 수용할 경우 경관위원회와 건축위원회 등 각종 위원회 심의를 조속히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시 김광회 도시균형재생국장은 “이번 민·관 공동 회의는 부산에서 처음 시도되는 회의로 ‘끝장토론’을 통해 민간과 함께 고민하고 시는 전문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이러한 시도가 재정비사업의 기간과 비용, 사회적 혼선, 갈등도 대폭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