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일본 사례를 통해 가계자산 운용해법을 모색한 ‘넥스트 20년, 내 자산 어디에 둘까 - 일본의 과거 20년이 주는 교훈’을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총서는 미래에셋은퇴연구소 홈페이지에서 전자책 형태로 무료 배포한다.
연구소 측에 의하면 1990년대 중반 일본은 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디플레이션 함정에 빠져들었다. 버블 붕괴 트라우마와 고령화로 가계의 상당 부분이 안전자산에 머물렀고, 지속되는 저성장과 자산시장 침체 속에 일본 가계는 20년 동안 부를 증식하지 못했다. 지금도 가계 총자산 규모는 버블기 정점 수준과 큰 차이가 없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2저(低) 1고(高)로 표현되는 저성장, 저금리, 고령화 시대에 직면했다. 총서는 일본의 버블 붕괴 전후와 90년대부터 20년간의 투자환경을 자산시장 관점에서 살펴본다. 일본 가계의 자산운용 과정에서 나타난 실패와 성공 요소를 바탕으로 가계 자산운용 핵심 원칙을 제시했다.
가계 자산구성의 변화를 시급히 시도해야 한다는 것. 일본처럼 뚜렷한 디플레 함정에 빠지기 전에 선제적으로 가계 자산구성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았다. 투자자산 비중 증가와 부동산 비중 축소를 통해 가계자산이 성장할 토대를 만들어야 하고, 연금 준비와 금융투자를 통해 금융자산 비중을 확대하고 은퇴자산을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인컴형 자산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령화 추세에 따른 장기적인 저성장, 저금리 상황에서는 자산가치 상승을 통한 가계자산 축적이 힘들어지고, 인컴 수익률이 높은 자산에 투자해 금리 이상의 수익률로 안정된 소득을 얻고 장기투자 방식으로 자산을 증식해야 한다는 것.
또 해외투자와 글로벌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본 가계는 2000년대 초부터 해외투자를 늘렸지만 채권, 외화예금 외에 자산군을 다양화시키지 못했다. 투자지역을 국내로 한정하지 말고 과거 일본 가계의 행동을 참고해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해외자산을 늘리고, 글로벌 분산투자에 나서야 한다.
저자인 박영호 연금연구센터장은 “고령화, 저성장 사회에서 일본과 같은 시련을 겪지 않으려면 자산을 젊게 만들어야 한다”며 “부동산 보유비중을 줄이고 인컴형 자산, 글로벌 자산을 중심으로 금융투자 비중을 늘리는 게 자산을 젊게 하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