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해상은 여름철 고온다습 현상으로 인한 타이어펑크·불쾌지수 등과 교통사고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지난해 여름철(6~8월)동안 발생한 교통사고 23만건을 분석한 결과, 폭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타이어펑크 사고는 기온이 30℃ 이상일 때가 그 이하일 때 보다 1.53배 높고, 타이어 펑크 교체를 위한 긴급출동 서비스도 1.21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이어펑크 사고의 치사율은 일반 교통사고 대비 11.3배, 중상자 발생률도 2.6배 높았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김태호 박사는 “기온이 30도일 때 노면은 70도 정도의 고열이 발생, 타이어로 전달되는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 현상이 생긴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공기압을 표준 압력보다 10~20% 높게 하고 타이어 상태를 수시 점검해 마모된 경우 미리 교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장마기간 이후 높은 습도와 기온 상승으로 운전자들이 느끼는 불쾌지수는 상승하게 되며 작은 불쾌감에서 시작한 운전자간 시비나 휴가철 교통체증은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과 교통사고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소가 지난 2017~2018년 2년 동안 전국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불쾌지수가 80 이하일 때 보다 이상인 경우 사고가 1.14배 증가했으며, 20대(+6.5%p)와 60대(+1.5%p) 운전자를 중심으로 사고가 더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