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19.06.10 14:27:10
르노삼성차의 임단협 사태가 전면 파업으로까지 확대되면서 르노삼성의 일부 협력업체에서는 이미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상공회의소(부산상의)는 르노삼성차 노사 합의안 도출로 타결될 것으로 보였던 합의 사항이 노조 투표에서 부결됨에 따라 협력업체에 대한 두 번째 긴급 모니터링을 했다고 10일 밝혔다.
부산상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르노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납품 비중이 높은 협력업체들이 고사 위기에 놓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일부 1차 협력업체는 이미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지역 일자리 감소와 협력업체 공급력 저하로 이어지면 르노삼성차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르노에 제품을 100% 납품하고 있는 1차 협력사인 A모사는 회사 창립 이래 처음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해 9명의 직원을 퇴사시켰다.
A사 관계자는 “평소 노사 화합의 가치를 매우 높게 추구해왔기 때문에 이번 구조조정으로 회사가 잃은 무형의 손실이 더 크다”고 전했다.
납품 물량이 절반 넘게 줄며 대부분의 협력업체가 단축 근무와 휴업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매출이 큰 폭으로 줄어드는 데다 고용 유지를 위한 인건비 부담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협력업체 내에서는 연쇄 부도의 우려마저 퍼지고 있다.
B모사는 매출이 15%가량 떨어져 생산 물량을 줄이기 위해 지난달에만 7일의 휴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C모사의 경우는 지난 4월 한 달 동안 무려 40억원이 넘는 손실이 발생해 하루 5000만원의 손실이 누적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C사는 고용 유지를 위한 지원금을 받고 있지만 한 달 지원금이 하루 손실에도 못 미치고 있어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처럼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협력업체를 전혀 배려하지 않는 르노 노사에 대한 원망의 목소리도 터져 나오고 있다.
D모사 관계자는 “차라리 전면 파업을 하면 같이 공장 가동을 중단하면 된다. 허나 지금처럼 르노 노사가 근무 인력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며 일부 공정만 가동하면 협력업체는 공급을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제품 생산을 할 수밖에 없어 더 어렵게 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한편 사태의 악화로 로그 후속 물량 확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차라리 대체 물량 확보에 나서는 기업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마저도 용이치 않은 현실이다.
E모사는 A/S를 포함해 대체 물량을 가져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근로자들이 신규 물량 생산에 적응이 되지 않아 생산 효율과 품질 관리에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사에서 물량을 배정받아 르노에 납품하는 F모사도 “우리 회사는 르노 비중이 크기 때문에 현 상태가 지속되면 본사에 다른 판로 개척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근황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