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광주시장은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일부 비판에 흔들리지 말고 시대정신과 시민만 믿고 담대하게 나아가자”면서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재협상 타결 의지를 다졌다.
이 시장은 11일 간부회의에서 “어제 광주시민 수천 명이 모여 ‘완성차공장 투자 유치를 위한 범시민 결의대회를 개최했다.”면서 “투자협약이 빨리 마무리됐으면 칼바람 부는 추운 날씨에 우리 시민들이 이런 고생을 하지 않으셨을 텐데 참으로 죄송할 뿐”이라면서 투자협약 무산을 아쉬워했다.
이어 “광주형 일자리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지자체 주도형 노사상생 모델이라서 예기치 못한 난관들이 참 많다. 흔히들 광주형 일자리는 독일 ‘아우토 5000’이나 미국 GM의 ‘새턴 프로젝트’를 벤치마킹했다고 얘기한다.”면서 “그러나 이들 나라 모델의 공통된 특징은 기업에 제안해서 시작됐다.따라서 노동계만 설득하면 성공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광주형 일자리는 지자체가 주도하고 있어 기업과 노동계 양쪽을 모두 설득해야 된다는 점에서 현격하게 다르다. 독일 ‘아우토 5000’은 폭스바겐이 제안해 노동계를 설득하는 과정에서 총리 등 연방정부가 지원을 했지만, 광주형 일자리는 지자체가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현대차와 지역 노동계를 설득하는 것이라서 이들 모델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과제를 안고 출발한 것”이라면서 “그런 만큼 우리의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럼에도 광주시와 현대차 그리고 지역노동계가 ‘상생협의회 결정사항의 유효기간’을 제외하고는 다른 쟁점들을 모두 합의한 것은 나름 성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는 현대차와 지역노동계가 적극 협력해준 덕분”이라면서 “당사자 간에 신뢰만 회복되면 마지막 쟁점도 해결이 가능할 것”이라고 타결 의지를 내비쳤다.
이 시장은 “우리 직원들은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간절히 바라는 시민들의 염원을 가슴에 새기고 당사자 간의 신뢰회복과 투자환경 조성 및 신설법인의 경쟁력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 시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당초 광주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시작되었지만, 지금은 한국경제의 체질강화와 미래가 달린 중차대한 문제가 되었다.”면서 “‘될 일은 반드시 될 것이다. 올 것은 마침내 올 것이다. 그러니 담대하라. 부끄러운 것은 믿음을 잃어버리는 것, 중단하고 포기하는 것’ 이라는 박노해 시인의 시처럼 흔들리지 말고 시대정신과 국민만 믿고 담대하게 우리 길을 가면 우리 광주가 또 하나의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을 것”이라면서 투자협약 성공을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