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뉴스텔링] 선박도 친환경 시대…누가 울고 누가 웃을까

환경기준 강화…조선업 ‘반색’, 해운업 ‘울상’

  •  

cnbnews 손강훈기자 |  2016.10.18 11:45:53

▲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을 제한하는 '환경규제'가 국내 조선사에게는 '친환경 선박 발주 증가'라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사진은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추진선. (사진=삼성중공업)

환경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방안이 조선·해운업의 희비를 엇갈리게 하고 있다. 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 제한’ 규제가 조선업은 친환경 선박 발주증가라는 호재로, 해운업은 연료비용 상승이라는 악재로 다가오기 때문. 환경보호 규제 강화가 혹독한 시절을 함께 보내고 있는 조선·해운업의 위기탈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CNB=손강훈 기자)  

2020년부터 선박연료 규제 강화
조선사, 친환경 선박 발주 기대 
해운사, 연료비 등 비용증가 우려

황산화물(SOx)은 주요 대기오염물질로 산성비를 내리게 해 식물을 말라죽게 하거나 건물 부식을 일으키는 등의 피해를 준다. 주로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가 연소되면 발생하기 때문에 석유가 주 연료인 자동차, 선박 등에 대한 규제 강화 목소리가 커져왔다.

자동차는 이미 유럽의 ‘유로6정책’에 따라 경유차의 배기가스 내 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는 유로6엔진을 도입했고, 선박의 경우도 올해부터 특정지역에 한해 ‘배출규제지역’에서 연료의 황 함유량을 0.1% 이내로 제한하는 규제안을 실시 중이다.

특히 선박의 경우 특정지역에만 실시하던 현행 규제를 앞으로는 전 해상에서 연료 황 함유량을 0.5%(기존 3.5%)로 낮추는 방식으로 강화된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이달 24~28일 열리는 제70차 MEPC 회의에서 시행시기를 결정할 예정이다. 2020년과 2025년 두 가지 안 중 2020년 시행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환경규제 강화안을 놓고 조선업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수주절벽’이라고 불릴 만큼 일거리를 확보 못한 상황에서 LNG추진선 등 선박 발주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새로운 규제 기준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저유황연료를 사용하면 되지만 연료비가 비싸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 지난 10월 기준 저유황연료 톤(MT)당 460달러(BW0.1S) 수준으로 일반 벙커C유 가격 300달러(BW180)보다 160달러(53%)가량 비쌌다.      

이는 기존 벙커C유와 가격은 비슷하면서도 황산화물 배출량은 97%가량 적은 질소산화물(NOx)을 연료로 사용하는 LNG추진선 도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1년 새 8척의 LNG추진선을 수주했고 지독한 수주가뭄을 겪던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2척의 LNG추진선을 수주하며 물꼬를 텄다. 특히 인도 게일사가 진행하는 LNG입찰에도 단독으로 참여하고 있어 4~6척의 추가 수주도 기대된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LNG운반선을 수주해 인도를 마치는 등 관련 기술 개발은 이미 완료 상황이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CNB에 “황산화물 규제안으로 인해 대부분 선박이 LNG추진선으로 대체될 것”이라며 “2020년 규제가 시행된다고 할 때 선박 건조에 2~3년이 소요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내년부터 발주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 전문가들도 비슷한 전망을 내놓았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존 연료를 대체하는 새로운 연료를 사용하게 되면 연료 탱크 규모나 성능이 업그레이드돼야 하므로 설계 능력이 우수한 한국 빅3 조선사에게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환경 변화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익성 저하에 시달리고 있는 국내 해운사에게 환경규제 강화는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현대상선의 현대 포워드호 모습. (사진=현대상선)

한진해운·현대상선, 친환경 선박 ‘언감생심’

반면 국내 해운업은 환경규제 강화 조치가 뼈아프게 다가온다. 선복량 과잉 및 물동량 감소로 인한 수익성 저하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연료비용 증가가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20년 강화된 환경규제가 시행되면 전 세계 해운업계에 발생할 추가 비용을 최대 300억달러(35조4300억원)로 추정했다. 이 비용 대부분은 에너지 고효율 선박을 도입하지 못한 해운사들이 떠안게 된다.  

글로벌 해운사 상위 13곳의 경우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빅3 조선사에 79척의 친환경 고효율 선박을 발주하는 등 활발한 투자를 벌이고 있지만 한진해운, 현대상선은 같은 기간 단 한 척의 신규선박도 발주하지 않는 등 투자가 전무한 상황.    

이대로 2020년이 온다면 국내 해운사의 경쟁력 타격은 불 보듯이 뻔하다. 

일부에선 새롭게 강화된 환경규제에 적응한 해운사 중심으로 세계 해운업의 재편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국내 해운사가 4년 정도만 버틴다면 기사회생 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지만,  자금압박으로 투자를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진해운, 현대상선이 과연 4년을 견딜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한 해운업계 관계자는 “국내 해운사들이 자금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는 꿈꾸기 힘든 상황”이라며 “결국 지속적인 비용절감 노력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정부와 금융권이 나서 국내 해운사의 신규선박 발주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 해운전문가는 “국내 해운업계가 친환경 고효율 선박에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정부·금융권의 지원이 이뤄진다면 친환경 선박에 특화된 국내 조선사는 수주 증가를, 국내 해운사는 경쟁력 확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NB=손강훈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