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조2257억원, 4322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5.8%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0.3%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2546억원으로 26.5% 증가했다.
지난 1분기와 비교할 경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2.9%, 60.5% 올랐다. 당기순이익도 60.5% 증가했다.
이 같은 경영실적은 철강재 가격 상승과 아파트 분양시장 활황에 따른 봉형강류 판매량 증가, 내진용강재 및 초고장력강판 등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에 힘입은 결과로 해석된다.
또 원재료 구매 및 물류비 계약형태를 다변화하는 방법을 통해 960억원에 달하는 원가절감을 이뤄낸 점도 이 같은 실적을 뒷받침해주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철강시황의 침체 속에서도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임직원의 노력이 양호한 실적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기업의 내실을 다져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현대제철은 이날 공시자료를 통해 투자 및 연구개발 현황, 시장대응 전략 등 하반기 경영활동으로 이어질 주요 사안에 대해서도 공개했다.
먼저 오는 9월 순천공장 No.3 CGL 설비의 토목공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투자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2018년 초 상업생산에 돌입할 이 설비는 연산 50만톤 규모로, 이를 통해 글로벌 자동차시장에 대한 강판 공급능력을 확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리고 9월부터 개정되는 KS 품질기준 강화에 대비해 봉형강 분야의 신강종 개발을 완료해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될 내진용 철강재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지켜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판재류 분야에서도 차량 탑승자의 안전도 향상을 위한 고성형성 120kg급 냉연강판 및 고강도 압력용기용 QT강재 등의 개발을 완료한 상태로 향후 이들 제품의 판매 확대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