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곤기자 |
2016.06.21 19:57:16
▲(사진=수원시)
국비에 지자체 예산까지 지원 받는 (주)그린카, 시민에게 돌아오는 혜택은?
정부와 지자체, "환경보호 위해 전기자동차 보급은 필수"
렌트카 사업자는 전기자동차로 수익창출
카셰어링 본연의 의미 퇴색되나?
수원시가 21일 ㈜그린카와 함께 친환경 교통문화 정착과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고자 전기자동차 카셰어링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동근 제1부시장을 비롯해 관련 공무원 및 이용호 ㈜그린카 대표이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양 기관은 내연기관의 차만 이용할 수 있었던 카셰어링 사업에 친환경 전기자동차 10대를 도입・운영하기로 합의했다.
협약에 따라 수원시는 전기자동차 카셰어링 사업에 필요한 주차 공간 확보, 주차 환경 조성과 전기자동차 구입비용 일부를 지원하고 ㈜그린카는 전기자동차 구입, 서비스 기획, 보험・수리・세차 등 서비스 운영 지원 및 다양한 사회공헌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수원시는 협약을 통해 전기자동차 카셰어링이 활성화되고 온실가스 저감 등 대기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휘발유 차(경차) 1대를 전기자동차로 전환할 경우 연간 약 2.3톤의 이산화탄소가 감소하는 효과를 거둘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소나무 약 450그루를 심는 효과와 같다는 분석이다.
협약식에 참석한 김 부시장은 “전기자동차 카셰어링을 통해 많은 시민이 전기자동차의 경제성과 우수성을 실감했으면 좋겠다”며 “앞으로도 수원시가 전기자동차 선도 도시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카셰어링은 한 대의 차량을 여러 회원이 나누어 쓰는 제도로 늘어나는 자동차 시대 차량소유를 억제해 교통과 환경문제를 동시 해결하고자 수원시와 ㈜그린카(구 KT렌탈)가 지난 2012년 2월부터 협력・추진하고 있다. 수원 시내에는 현재 관공서 및 1호선 환승주차장 등 75개소에 117대의 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교통환경과 관계자는 CNB와의 전화통화에서 "현재 대부분 지자체들은 전기자동차를 구입하는 모두에게(개인,법인,렌트카 포함)국비와 지자체 예산을 투입해 보조금을 지급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올해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급 예산을 1485억 원을 확보(8000대 가량)해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환경을 보호한다는 취지아래 국민 개인이 아닌 일반 렌트카업체의 수익수단에 국비와 지자체 예산까지 지원한다"는 점에는 곱지않은 시선과 함께 "적절성에 문제를 제기하는 여론에 정부와 지자체는 귀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