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광주 정치권 “ 보훈처,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 되고 제창 안 돼… 코메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촉구

  •  

cnbnews 박용덕기자 |  2016.05.16 14:25:24

국가보훈처가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장에서 불릴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으로 결정한 것과 관련 참가자 모두가 제창을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정의당 광주시당은 16일 성명을 내고 "보훈처의 합창 결정은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국민적 합의로 개최 되고 있는 기념식의 의미를 축소하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또 정의당은 "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2년 발표 이후 전 국민의 노래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는 모든 이들이 마음을 표현하는 노래로 불리고 있다"면서 "36주년 기념식에선 제창 방식으로 불릴 수 있도록 청와대가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국민의당 박주선 의원도 “이번 기념식 주제를 '5ㆍ18정신으로 국민화합 꽃피우자'라고 정했던 박근혜 정권이 또다시 합창으로 하기로 한 것은 총선 민의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며 "박근혜 대통령의 고집을 더 이상 국민이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 최고위원은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합창은 되고 제창은 안 된다는 것은 한낱 코메디에 불과하다. 5.18기념식 식순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으로 넣어놓고 있지만, 기념식장에서는 모두가 일어서서 제창하고 있다. 합창은 되고, 제창은 되지 않는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박 최고위원은 “이미 국회에서는 여야만장일치로 5.18 기념곡을 제정하고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결의안을 통과시킨 바 있으며,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이 5.18 기념식에 참석했을 때에도 자리에서 일어나 태극기를 흔드면서 제창에 동참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광주광역시의회(의장 조영표)는 오는 18일 오전 9시부터 국립5․18민주묘지 민주의 문 앞에서 국가보훈처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불가 입장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는 침묵시위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조영표 의장과 의원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라’, ‘국론분열 일으키는 보훈처장 물러나라’ 등 피켓을 들고 광주 민심을 대변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시의원들은 " ‘임을위한 행진곡’ 제창 거부는 5․18에 대한 정부의 왜곡된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며 국론분열을 조장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 노래는 5.18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1997년부터 2008년까지 공식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함께 불러왔기 때문에 이미 국민의 노래이자 민주국가를 바라는 전 세계인의 노래"라고 설명했다.

조영표 의장은 "더 이상 기념곡 지정 문제로 기념식장의 주인공인 오월영령과 광주시민의 공분을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며 "대통령의 뜻이기도 한 국민통합을 위해 정부의 결정을 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