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자치 21은 25일 "광주시는 버스준공영제에 대한 총체적 진단과 혁신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참여자치 21은 광주 시내버스 재정지원금 532억 원 관련 논평을 내고 "지난해 광주 시내버스 재정지원금이 532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면서 "이로써 2007년부터 본격 지급한 재정지원금은 모두 3152억 원에 이르게 됐다. 한 해 평균 350억 원이다. 한마디로 시민 혈세 먹는 하마다"면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참여자치 21은 "문제는 지원금은 이처럼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데, 광주시의 대응은 너무 안이하다는 것"이라며 "시내버스 회사들의 인건비 착복 등 방만한 경영과 표준원가 산정 체계 등 근본적 원인은 그대로 둔 채 시내버스 회사에 줄 돈은 주고 부족한 재정은 시민들의 호주머니에서 충당하겠다는 태도다"고 비난했다.
이어 "참여자치21은 준공영제 재정지원 절감 방안을 발표한바 있고, 광주시는 우리가 제안한 표준연비제를 도입하겠다고 했다"면서 "시민참여를 통한 투명경영, 연료비 직불제 시행, 노선과 서비스 개선을 통한 운송수입금 증대 방안 등 핵심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참여자치21은 "광주시는 깨진 독에 계속 물만 붓지 말고 이제라도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총체적 진단과 혁신적인 개선 대책을 마련해 시행하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