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곤기자 |
2016.03.16 14:00:25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학대아동 예방 및 조기발견 시스템 구축 관계기관 회의에서 관련사항을 보고 받고 토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경기도)
아동학대 문제 해결을 위해 경기도와 시군, 경기도경찰청, 경기도교육청, 경기도내 지역아동센터와 아동보호전문기관이 함께 학대아동 예방 조기발견시스템 구축과 학대아동에 대한 보호와 지원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16일 오전 학대아동 예방 및 조기발견 시스템 구축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아동학대예방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남 지사는 이 자리에서 “아동 학대 문제는 가정을 무너뜨리고 우리 사회를 황폐화시키는 중대한 사안이자 우리 사회의 부끄러운 자화상”이라며 “도와 시·군, 교육청, 경찰청, 아동보호 전문기관 모두가 협업해 학대아동에 대한 안전망을 더 촘촘히 강화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가 전국에서 아동수도 많고 그에 따라 아동학대 발생건수가 가장 많다”며 “경기도가 아동학대 문제를 잘 해결하면 피해아동이 줄어들고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사명감을 갖고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경기도는 이날 "학대아동 조기발견을 위해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지역아동센터, 통장·반장·이장 등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한편 경기도를 중심으로 시군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이 함께하는 학대아동 보호와 지원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경기도는 아동보호전문기관과 도, 시군, 경찰청이 함께하는 합동 TF팀을 구성하고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5년 동안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보호를 받았던 7004명을 대상으로 4월 중순까지 소재파악과 안전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확인 이후 재학대가 의심될 경우 아동보호전문기관과 경찰이 함께 동행해 면담을 실시하게 되며 피해사례 발견 시 보호 조치와 심리치료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읍면동 주민센터와 통장, 반장, 이장과 각종 협의회 등 지역사회 리더를 대상으로 아동학대 발견 및 신고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 촘촘한 학대아동 조기발견 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에 아동인권관을 설치하는 등 도민 인식개선 사업도 벌이기로 했다.
학대아동에 대한 보호와 지원체계는 경기도를 콘트롤 타워로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시군, 경찰청과 교육청이 함께하는 협업시스템을 강화하기로 했다.
남 지사는 대책회의를 마치면서 “복지사 확충과, 학교폭력전담관 확충 등 인력지원에 대한 예산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경기도와 도교육청, 경찰청이 할 일을 조율할 수 있는 상시적 기구를 마련해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