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설공단(이사장 김용철)이 공공기관에서는 전국 처음으로 '반려동물 친환경 장묘시설' 조성을 추진한다.
권영균 공단 기획전략부장은 18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공단업무 브리핑을 통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증하면서 사체 처리방식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반려동물 장묘시설 조성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반려동물이 동물병원에서 죽으면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소각 처리되고 있지만, 일반 가정에서 발생되는 동물 사체는 일반폐기물 처리법에 따라 생활쓰레기 봉투에 담아 폐기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반려동물 사육 인구수가 1000만 명을 넘어선 현재 죽은 반려동물의 불법 매립과 투기 등 무분별한 사체 처리로 병원균 등 각종 질병을 옮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동물 사체의 쓰레기봉투 처리는 여름철 악취로 인한 민원과 함께 폐기물로 처리됨으로써 반려동물 보호자 정서에도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 공공에서 운영하는 일반 화장시설에서의 반려동물 화장 요구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공단은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추세에 부응하고, 위생적‧안정적 사후 처리로 감염병 예방 및 환경오염방지를 위해 공공 차원의 장묘시설 조성을 고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농림축산식품부에 정식허가를 받고 동물의 장례 및 화장을 하는 장묘업체는 경기도를 포함 수도권 13개소, 부산권 1개소 등 총14개소로 모두 민간시설이다.
이들 시설에서는 동물도 사람처럼 화장하고 납골당에 유골을 보관할 수 있는데, 동물 몸무게에 따라 최소 30만원에서 50만원이 소요된다. 거기에다 값비싼 수의까지 선택하면 많게는 3~400만원에 달하는 등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돈을 아끼지 않는 보호자들이 늘면서 화장을 대행하는 무허가 업체가 난립하고 있으며, 트럭을 개조한 이동식 화장시설로 불법 화장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 같은 문제점에 대해 공단은 "선진국의 경우처럼 공공기관이 적극적으로 개입해 체계적이고 위생적인 공공처리시스템을 구축, 환경‧위생문제 해결은 물론 동물의 생명윤리에 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공공기관이 직접 관리‧운영할 경우 민간 시설보다 저렴한 이용료를 통해 반려동물 보호자들의 부담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단은 반려동물 장묘시설 입지로 화장로 노후로 인해 지난해 1월부터 가동중단 상태에 있는 진해화장장을 우선 검토하고 있다.
공단은 이곳에 화장로 2기를 우선 설치하고, 필요시 장례식장과 납골당 등은 부대시설을 리모델링할 경우 약 10억 원 이내의 예산으로 동물 장묘시설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밖에 진동 창원공원묘원 내 마산화장장 또는 진해 천자원 부근도 검토 대상지로 꼽고 있다.
공단은 시설을 운영할 경우 민간시설보다 저렴한 사용료를 책정하고, 창원시에 등록된 반려동물과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추가 할인혜택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공단은 상복공원과 마산화장장, 진해화장장을 관리‧운영해 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첨단 공해방지시스템 구축과 도심공원 개념 도입 등 친환경 장묘시설을 통해 국내 동물 장묘문화를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공단은 동물 장묘시설 조성을 위해 각계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타당성과 수요예측, 문제점 등을 면밀히 분석해 신중히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창원시에는 지난 2015년 말 기준으로 등록된 반려동물만 총 2만184두에 달하고, 유기동물도 1620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더욱이 등록이 의무제가 아니기 때문에 등록하지 않은 반려동물을 합하면 전체 가구의 18%인 7만4000여 가구가 반려동물을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