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가칭)경기일자리재단 출범을 당초 2016년 1월 출범 예정이었으나 기존 일자리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의 통폐합 과정에서 재단 출범에 회의적인 일부 직원들의 불만과 함께 도의회의 조례안 의결 과정 등을 거쳐야하는 상황에서 경기일자리재단 설립추진단 내부에서도 내년 1월 출범은 쉽지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애초부터 준비되지 않은 무리한 계획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경기일자리재단 출범은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보은을 고려한 통합 과정이라는 의구심과 재단 이사장 내정설도 심심치 않게 흘러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통폐합을 앞둔 담당부서 직원들은 아직까지 출범시기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경기도가 별다른 결과물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당분간 직원들은 통폐합에 따른 동요는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경기도 일자리정책과 김태현 팀장은 "재단 이사장 선임은 법인위원회의 선출 방식을 통해 선임되는 사항으로 현재 누가 일자리재단 이사장으로 선임될지는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일자리 창출을 내년 도정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2000억 원의 예산을 집중 투입할 예정이지만 일자리재단 출범이라는 경기도의 정책변화에 정작 일자리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직자들은 어수선한 분위기속에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