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이른바 ‘좀비기업’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좀비기업이란 대출과 보증으로 부실을 막으면서 연명해 나가는 기업을 말한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이 직접 지원 사격에 나서며 좀비기업 구조조정을 독려하기로 했다. 진 원장은 오는 27일 신한과 KB국민, 하나KEB, 우리은행 등 6~7개 주요 시중은행장을 만나 이런 의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아울러 신속하고 엄격히 구조조정을 진행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금융개혁에 대한 협조도 당부할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25일 “정부·유관기관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 등에서 좀비기업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면서 “올해 안에 좀비기업들에 대한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등의 조치까지 가급적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 부실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 내년 4월 총선과 맞물리면 구조조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에 정부 부처와 유관기관 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이번 주 초 시중은행과 신용카드·캐피털사, 저축은행, 상호금융사 등에 최대한 엄격한 기준으로 대출 자산 건전성 분류를 하라고 공문을 보냈다.
이처럼 엄격한 기준으로 자산을 분류하면 고정이나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부실 여신 비중이 과거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고정 이하로 분류된 여신이 늘어나면 채권은행들은 그만큼 많은 대손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금감원은 또 채권은행의 기업신용위험 평가 등 한계기업 대응 현황이 미진하다고 판단되면 즉각 현장검사에 나선다는 방침을 정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올해 4분기에는 이익을 거의 못 낼 수준으로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압박이 심할 것”이라면서 “이는 결국 구조조정을 신속하고 강도 높게 추진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