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 인사검증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과 함께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참여자치21은 12일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시의회의 3번의 청문회에서 두 명의 산하기관장 내정자가 ‘부적격’으로 낙마하게 됐다"면서 "광주시가 후보자에 대한 사전 검증만 제대로 했다면 충분히 알 수 있는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지난 7일 윤장현 시장이 광주시의회 인사청문회에서 ‘부적격’ 판정결과 보고서를 받아들여 광주복지재단 대표이사 내정자의 임용을 철회했다"면서 "내정이 발표되자 ‘反 시국선언’ 참여 등 광주정신과 맞지 않는 부적절한 인사라는 여론이 들끓었는데도 사전 검증절차를 전혀 하지 않았다는 것을 여실히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이어 단체는 "인사 논란으로 인한 시정 불신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인사청문회는 도입했지만, 인사시스템의 부재는 여전하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 결과였다"면서 "제대로 된 광주시의 인사시스템이 만들어지고 후보자에 대한 면밀한 사전검증 절차 없이는 이와 같은 문제가 또다시 반복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더 이상의 부적격 인사논란은 안 된다. 행정력 낭비는 물론 시정 불신을 자초함으로써 행정 동력 상실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는 광주시와 윤장현 시장은 물론 광주시민에게도 불행한 일이다"고 주장했다.
참여자치21은 "광주시와 윤장현 시장은 형식적 자기 검증절차가 아니라 진정으로 시민을 대표할 적임자를 찾겠다는 단체장의 의지가 필요하며 의지를 뒷받침할 인사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