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기술보증기금(이사장 김한철)에 따르면, 최근 4년간 기술금융을 지원받은 기업 2500개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 대비 R&D투자규모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금융을 지원받은 기업 대부분이 창업 5년 이내의 기술창업기업으로 R&D투자 절대금액은 평균(전체 중소기업)보다 낮은 편이나, 매출액대비 R&D투자금액은 연속해서 15%이상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금융 지원이 기술력에 바탕을 두고 성장잠재력이 높은 중소기업을 선별해 지원하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조사대상은 2011년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신규 기술보증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이며 4개년(2011~2014)간 수집된 R&D관련 객관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은 R&D투자규모와 무형자산에 근거해 ▲R&D투자집중도(매출액대비 R&D투자규모 비율) ▲무형자산비율(총자산대비 무형자산 비율) ▲R&D투자배수(무형자산대비 R&D투자규모 배수)로 구성했다.
분석결과 2011년도 기술금융지원 이후 기간별 R&D투자집중도는 2012년 15.4%, 2013년 20.5%, 2014년 17.9% 등 연속해서 15%이상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종별로는 지식서비스업 등 고부가 산업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석유/화학 등 전통적인 산업분야에서도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업종별로는 R&D효율성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금융 지원분야별로는 주로 지식재산, 특허가치를 대상으로 한 기술보증 지원기업의 R&D투자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성장동력산업 영위기업 또한 다른 지원 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 R&D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기술인력', '기술조직', '지식재산권(IP)', '기술개발실적' 등 주로 기술력에 기반한 기업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의 재무적 특성인 '당기순이익', '매출액', '영업이익', '종업원수'는 오히려 R&D투자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업의 외형적 규모나 재무성과가 향상되면 R&D투자의 절대적 규모는 증가할 수 있지만 R&D투자 효율성으로 반드시 이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국내 R&D활동은 매우 활발하고 투자규모도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양적 증가와는 별도로 R&D투자의 질적 향상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기업 R&D투자의 양적 성장이 효과적인 기업성과 창출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점이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기보는 향후 중소기업 R&D투자에 따른 질적 향상 수준과 성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특정 산업 분야에서 비교하거나 시기별로 그 변화 정도를 측정할 예정이다. 이는 R&D에 대한 정부 정책, 더 나아가 국가간의 기술경쟁력 파악에도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CNB=최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