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이계삼 경기도건설본부장이 신청사 건립에 필요한 재원조달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사진=경기도 제공)
이계삼 경기도건설본부장, "투명하고 안정적으로 신청사 건립하겠다"
공유재산 매각비용,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매각 대금 감소 대비해야
경기도가 광교에 추진 중인 신청사 건립 재원 4273억 원 가운데 설계비 130억 원을 제외한 나머지 4143억 원에 대한 재원조달 방안을 발표했다.
건축비 2716억 원은 지방채 발행으로 토지비 1427억 원은 경기도시공사의 이익배당금으로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이계삼 경기도 건설본부장은 18일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신청사 건립사업 재원조달 방안을 설명하고 "추가 세금투입 없이 신청사 재원 특별회계를 설치해 투명하고 안정적으로 신청사 건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 본부장은 18일 오후 경기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재정적으로 건전한 경기도청 이전사업방안 토론회에서도 같은 내용을 발표한다.
이 본부장은 먼저 "건축비 2716억 원에 대해 경기도 지역개발기금(지방채)을 활용해 건축비를 조달하고 나중에 공유재산 매각을 통해 대금을 상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지방채 상환 기간인 2027년까지 공유재산 매각을 통해 2716억 원을 조달할 수 있을 것인가가 재원조달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 매각대상 물건 21건의 매각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대금확보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도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도는 매각이 확실한 수원 종자관리소(추정가 1145억 원), 경기도건설본부(추정가 103억 원) 등 6건의 공유재산 매각을 통해 1615억 원의 세입확보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나머지 매각이 불확실한 안산시 쓰레기매립장(추정가 761억 원), 수원에 있는 경기도체육회관(추정가 100억 원) 등 15개 공유재산 매각을 통해서는 최소 1332억 원 수준의 매각 비용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들 15개 공유재산의 현 부동산 추정가치는 2219억 원으로 도는 이들 공유재산에 지난 10여 년 동안 정부 공기업 지방이전에 따른 매각비율 60%를 적용해 1332억 원 수준의 매각 비용을 추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본부장은 “6개 공유재산 매각대금 1615억 원과 15개 공유재산 매각 가능 대금 1332억 원을 합치면 총 2947억 원으로 건축비 2716억 원을 충당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토지매입비 1427억 원은 경기도시공사에서 나오는 이익배당금을 받아 충당하기로 했다.
▲지방채 발행과 공유재산 매각 등을 통해 신청사 건립 재원을 마련하겠다고 밝히고 있는 이계삼 경기도건설본부장(사진=경기도 제공)
현실에 맞는 철저한 분석으로 자원조달 계획
5월 도의회 재심의 요청 통과는 미지수
신청사 이전 시 일부 기관 이전에 대비 토지 확보 예정
"도의회 이전 시 신축의향은 결정 된 사항 없다"
이 본부장은 “도시공사는 매년 이익배당금을 도에 지급하고 도는 이를 세입으로 처리한다며 도시공사와 토지대금을 이익배당금으로 상계처리하기로 합의됐다”고 밝혔다. 경기도 건설본부는 이러한 신청사 건립재원 조달방안을 지난 13일 도의회 건교위와 안행위에도 보고한 바 있다.
한편 도는 신청사 건립재원 조달방안 실행을 위해 박수영 경기도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이계삼 건설본부장을 총괄팀장하는 공유재산 매각T/F팀을 구성·운영하고 정례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또한 지난해 11월 도의회 건교위에서 심의 보류되었던 신청사 건립 특별회계 설치조례를 오는 5월 도의회에 재심의 요청할 계획이다.
이계삼 건설본부장은 “경기도의회와 지속적으로 소통해 안정적으로 재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경기도가 공유재산 매각과 지방채 발행 등을 통해 신청사 이전을 굳이 해야만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상황속에서 긴축경영을 지향해야하는 이때 경기도는 오히려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신청사 건립을 추진하는 것에 대한 도민들의 우려의 목소리를 경기도는 귀 기울어야한다고 지적했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