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2014년 학교에서의 성 인권교육 중앙관리기관 결과보고서 교육 실적보고(여성가족부)에 따르면 학교 성 인권교육이 전국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은 2014년 학생의 성 인권교육을 위하여 보건교사 배치교 61교와 보건교사 미배치교 9교 등 70교를 대상으로 성 인권 중심학교를 운영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운영 실적에서 목표대비 실적 달성율이 경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도별 교육모니터링과 사업운영점검 결과 평균 93.2와 95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성 인권 교육은 성교육 및 성폭력․성희롱․성매매․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을 통합적 관점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추진배경은 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법 등 개별법에서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 등의 예방교육을 의무화하였으나 학교에서 교육시수 확보 미흡 등 실효성 부족으로 아동․청소년 대상의 범죄예방 교육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어 추진하게 되었다. 대상은 경기도 관내 초등학교 중 희망교 70교가 참여 했다.
도교육청은 경기도청소년성문화센터와 협력하여 학교로 찾아가는 성교육 체험 버스와 보건교사미배치교에 강사를 파견하여 성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은 여성가족부와 MOU체결로 중심학교 70교를 선정하여 체험형(경기도청소년성문화센터의 버스체험)교육을 포함하여 보건교사배치교 8차시(285학급/7437명), 보건교사미배치교 6차시(13학급/186명)를 운영하였다.
경기도교육청은 2015년도에도 좀 더 향상된 프로그램으로 성 인권중심교를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학교에서 성교육이 정착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