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김정훈 의원 “부산이전 공공기관, 부산출신 채용 저조”

2006~2014년 약 13.5%에 불과…이전 지역출신 채용 의무화 방안 마련 필요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5.01.26 17:44:17

(CNB=최원석 기자) 부산이전 11개 공공기관들의 부산출신 신입직원 채용 실적이 그동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김정훈 의원(부산 남구갑)이 부산이전 11개 공공기관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기관 부산이전이 확정된 2006~2014년 11개 부산이전 기관들의 직원(정규직) 채용은 전체 약 2050명이며, 이 중 부산출신 채용 직원은 약 277명(약13.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1개 부산이전 기관들 중에서 부산지역 소재 대학 및 고등학교 졸업자들을 신입직원으로 10%도 채용하지 않은 정부기관이 7개(약 63.6%) 기관이나 됐다.


이들 7개 기관을 살펴보면, 먼저 ▲영상물등급위원회로 전체 4명 중 단 한명도 채용을 하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2명/50명, 4%) ▲한국예탁결제원(10명/147명, 약 6.8%) ▲한국자산관리공사(20명/286명, 약 7%) ▲게임물관리위원회(3명/39명, 약 7.7%) ▲대한주택보증(14.5명/176명, 약 8.2%) ▲한국주택금융공사(25명/266명, 약9.4%) 순이다.


이에 반해 이전 정부기관 중 10% 이상 부산지역 소재 대학 및 고교 졸업자들을 신입직원으로 채용한 기관은 4개 기관에 불과했다.


가장 많은 부산지역 소재 대학 및 고등학교 졸업자들을 신입직원으로 채용한 정부기관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으로 전체 176명 중 34명(약 19.3%)을 채용했으며, 다음으로는 ▲한국남부발전(152명/808.5명, 약 18.8%)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13명/70명, 18.6%) ▲영화진흥위원회(3명/27명, 약 11.1%) 순이다.


그러나 전체 채용한 신입직원 중 부산출신(최종학력) 신입직원에 대한 채용비중이 아니라 최종학력이 부산출신인 신입직원만을 가장 많이 채용한 기관은 한국남부발전(152명)이었다.


또한 부산 이전 11개 정부기관 중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정규직 신규채용의 30% 이상을 지역인재로 채용’ 권고(2011.6.9.)에도 불구하고, 이전이 확정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지역인재 채용을 30% 이상으로 한 기관은 5개 기관(약 45.5%)에 불과했다.


지역인재 채용 30% 미만인 6개 기관을 살펴보면 ▲영상물등급위원회(0명/4명, 0%) ▲한국해양수산개발원(3명/50명, 6%) ▲영화진흥위원회(4명/27명, 약 14.8%) ▲한국예탁결제원(31명/147명, 약 21.1%) ▲대한주택보증(46명/176명, 약 26.1%) ▲한국자산관리공사(79명/286명, 약 27.6%) 순이다.


이처럼 부산 이전 11개 정부기관의 신입직원 채용에서 부산출신 인재 채용의 비율이 저조한 데는 기관들의 지역인재 채용 의지 부족과 구조적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부산으로 이전한 11개 공공기관의 신입직원 채용규정을 조사한 결과, 일정규모 부산출신 채용을 의무화하고 있거나 인센티브를 주고 있는 기관은 4개 기관에 불과했다.


먼저 신입직원 채용 시 이전 지역인 부산출신 채용 의무화 규정 존재 또는 실시하고 있는 이전 정부기관은 3개 기관으로 이를 살펴보면, 먼저 ▲한국남부발전은 전체 신입직원의 20%를 이전지역인재로 채용하는 채용할당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대한주택보증은 이전지역인재 10%를 의무적으로 채용 ▲한국주택금융공사는 2013년부터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인사운영에 관한 지침(제5조)’를 준용해 채용인원의 10% 이상을 이전지역 인재로 채용 중에 있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경우에는 별도의 채용 의무화 규정이 존재하지는 않으나 ‘직원 선발 지침 제10조(가산점)’을 통해 이전지역인재에 대해서는 전형 단계별 5%의 가산점을 주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015년도 부산이전 정부기관별 신입직원 채용 계획. (표제공=김정훈 의원실)


김정훈 의원이 부산이전 11개 정부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2015년 신입직원 채용계획’을 살펴보면, 올해 부산이전 11개 공공기관들의 총 신입직원 채용인원은 219명에 불과했으며, 가장 많은 신입직원 채용 계획을 가진 기관은 한국남부발전(80명)이며, 가장 적은 신입직원 채용계획을 가진 기관은 영화진흥위원회(1명)와 게임물관리위원회(1명)였다.


즉, 지난해까지 부산이전 정부기관 신입직원 채용 인원 중 평균 약 13.5%만이 부산 출신 신입직원을 채용했음을 감안한다면, 올해 부산 출신 신입직원 채용은 약 29.6명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김정훈 의원은 “부산지역 이전 공공기관들이 적극적으로 신입직원 채용 시 지역인재 채용비율을 정부권고안인 30%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채용목표를 일괄적으로 조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인사운영에 관한 지침(제5조)’를 준용해 이를 근거로 이전지역 출신 직원채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대책방안을 밝혔다.


또한 김 의원은 “부산이전 공공기관협의체와 부산 소재 전체 대학들(부산대학총장협회 등)과의 산학협력 등의 MOU 체결과 합동 취업설명회 및 년 1회 이상 합동 채용박람회를 여는 것이 필요하다”며 부산지역 소재 대학 및 고교 졸업자들에 대한 신입직원 채용 확대방안을 제시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