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오는 17일과 18일 교섭투쟁을 벌인 뒤 20일부터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계획을 예고한 가운데 광주시교육청이 아무런 대책도 마련하고 있지 않아 학교급식 종사자들이 파업을 하게 되면 2012년에 발생했던 급식대란이 또다시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옥자 광주광역시의원(광산3)은 6일 광주시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학교비정규직 총 파업이 예견되고 있지만 시교육청은 아직까지 아무런 대책도 세우고 있지 않다"며 "학교급식종사자들이 파업에 참여하게 되면 학교급식을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해 학생들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지난 2012년 학교비정규직 파업당시 광주지역 유·초·중·고·특수학교 312개교 중 236개교가 파업에 참여해 216개교(69.23%)만이 정상급식을 실시했었다.
당시 학교 비정규직노조의 1차 파업으로 광주지역 초등학교 51개교, 중학교 39개교, 고등학교 13개교, 병설유치원 1개교, 특수학교 6개교가 급식에 차질을 빚었다. 이로 인해 초17·중19·고4개교가 도시락 지참, 초33·중30·고1·특수1개교는 빵과 우유 등 대용품 지급, 초6·중6개교는 단축수업을 하는 사태가 발생하여 학생과 학부모들이 큰 불편을 겪었었다.
김 의원은 "2012년도에도 비정규직노조의 파업이 이미 수일전에 예견되었음에도 시교육청이 대책을 세우고 있지 않아 급식대란이 발생했었다"며 "광주시교육청은 학교비정규직들이 총파업에 참여하게 될지 확실하지 않다고 하면서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여전히 눈치만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광주시교육청과 비정규직 노조간에 합의가 원만하게 이루어져서 합리적인 방법으로 문제가 해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라며 "만약 파업이 일어났을 때 학생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사전에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