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현 광주광역시의원(서구2)은 6일 "광주시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지역별로 운영하는 5개 중독관리센터의 역할 및 기능이 미비하다"고 지적하고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점검하여 조속히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2012년부터 광주시 5개 자치구에서 5대 중독(알코올, 인터넷, 도박, 마약, 니코틴)의 예방과 치유를 위해 중독관리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제점으로 중독 치유 프로그램 참여자가 적고 알코올 중독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을 들었다.
김 의원은 2013년도에 5개 중독관리센터에 회원으로 등록하고 치유프로그램에 참가한 사람은 총 892명이다. 연간 예산이 20억 원이나 투여되는 점을 감안하면 참여가 극히 저조한 실정으로 치유프로그램 참가자 중 알코올 상담이 790명으로 90%에 달하고, 인터넷중독은 19명, 도박 중독은 21명에 그쳤다면서 이는 홍보부족도 원인이겠지만 전문성 결여에 따른 만족도 저하가 원인인 것으로 보여진다는 설명이다.
또 지역 내 중독자에 대한 실태파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김 의원은 광주시가 최근 5년 사이 2012년도에 광주시민 3,000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조사를 한번 실시한바 있으나, 조사범위가 지나치게 포괄적이어서 5대 중독에 대한 유병률 등 중독과 관련한 유의미한 통계 도출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5개 중독관리센터 전체예산 중 인건비와 운영비 비중이 88.6%에 달해 지나치게 높고, 상대적으로 치유 프로그램 등 사업비의 비중은 7.5%에 불과하다는 점을 들었다.
김 의원은 이는 프로그램의 질과 만족도 저하 이어지고, 결국 대상자의 참여 저조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중독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를 넘어 사회전반의 건강성을 해치는 심각한 문제"라며 "광주시가 5개 중독센터를 설립하였다는 데 만족하지 말고 이제 센터 설립 3년째가 되는 만큼, 중독관리센터의 운영 실태를 면밀하게 파악해 문제점을 개선하고 시민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