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지역 건설업체, 일감 부족·채산성 악화·자금애로 '3중고'

10개중 6곳, 지난해보다 수주 부진…관급공사 물량 감소.저가 수주로 어려움 심화

  •  

cnbnews 박용덕기자 |  2014.10.31 13:16:24

광주지역 건설사들이 수주 부진과 함께 저가 수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고 금융권 대출 제한으로 3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공회의소가 광주상의 건설업 회원업체 101개를 대상으로 '지역 건설업계 현안애로와 정책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52.5%가 전반적인 경영여건이 지난해보다 악화되었고, 63.8%는 올해 수주액이 지난해에 못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지역 건설업계의 이러한 어려움은 지역 업체의 주요 일감인 관급공사의 물량이 감소하고 저가수주 확대 등으로 이윤율이 하락하는 등 경영 안정성과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데다 건설업에 대한 금융권의 대출 제한으로 유동성 애로까지 가중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업추진 애로 요인…수주감소, 수익성 악화, 자금조달 

▲사업추진 애로요인( 주요 애로 2가지 선택 )

실제로 지역 건설사들은 올해 사업추진에 있어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 10곳중 9곳이 '수주감소(86.1%)'를 꼽았고, 뒤를 이어 '수익성 악화(32.7%)', '자금조달(28.7%)', '불확실한 경제상황(21.8%)' 등을 지적했다.

수주감소가 가장 큰 공사분야는 '공공토목(50.5%)', '공공건축(27.3%)'이라고 답해,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의 주 수익원인 공공사 발주물량 감소로 인한 타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조달 부문 에서는 '신규대출 기피(36.7%)', '대출한도 축소(31.6%)', '추가담보 요구(19.0%)' 등의 애로를 꼽았다.

주택분양 부문에서는 '과잉공급(41.8%)', '금융규제(21.8%)', '주택 수요변화(16.4%)', '택지부족(10.9%)' 등이 사업추진 애로요인이라고 답했다.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대책이 미치는 영향 에 대해서는 24.3%가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DTI와 LTV, 재개발·재건축 규제완화로 수도권 등 타지역에 진출한 중견 주택건설업체의 사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그러나, 대부분이 별다른 '영향없음(65.3%)'이라는 의견을 보여 지역 건설시장 전체로는 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업체들이 경기침체, 일감부족 등 사업환경 변화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비용절감(61.4%)'과 '기존 사업역량 강화(18.8%)'라고 답해 불확실한 경제상황과 자금 조달능력 부족으로 내실화 외의 마땅한 대안을 찾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고, 신규사업 진출 등 적극적인 활로모색을 추진하고 있다는 응답은 17.8% 였다. 

당면한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정책 개선과제 로는 '공사비 단가의 현실화(53.0%)'가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다. 뒤를 이어 시공능력 보다는 가격중심의 평가로 부작용을 양산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공공 발주제도의 개선(17.0%)'과 'SOC 공공투자 확대(11.0%)' 등을 꼽아 건설시장 활성화를 위한 합리적인 제도의 정착과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지원과제로는 '지역 대형공사의 지역업체 참여기회 확대(43.4%)'와 'SOC 사업 국비확보(36.4%)', '대형 건설 프로젝트 발굴로 시장규모 확대(10.1%)'등 지역업체의 수주기회 확대 방안을 강구해 줄 것을 희망했다.

2013년 지역에서 발주한 공사액(기성액 기준) 대비 지역업체의 수주현황을 보면, 광주지역은 37.6%로 30%대에 머물러 있어 수도권을 제외한 타광역시와 비교시 지역업체의 수주율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남지역 공사의 지역업체 수주규모는 46.6%로 전국 평균(41.9%)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주난 해소 위해 생활밀착형 SOC, 교통 관련 SOC 투자를 통한 공사물량 확대 희망

▲수주난 해소를 위한 공사물량 확대 방안

수주난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시민의 복지 증진 및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생활밀착형 SOC 사업 (42.3%)'과 '혼잡 교통구간 해소,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등 교통 관련 SOC 확충사업 (20.6%)'추진이 공사물량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대형공사 지역업체 참여(19.6%)' 등 지역 건설업체들의 수주율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과 '문화관광산업과 연계한 프로젝트 추진(13.4%)'등 민간투자 유치를 통한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건설업체 스스로 경쟁력을 높이는 자구노력이 선행되어야 하겠지만, 최근 지역 건설업은 수주감소와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는 구조적인 문제가 누적되고 자금조달마저 어려워지면서 중소 건설업체들이 마땅한 타개책을 찾기 힘든 상황"이라면서 "건설업은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고 지역경제 활성화의 한 축을 담당해온 만큼 지역 건설업계가 성장동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제도적,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