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이하 U대회)를 '저비용 고효율' 대회로 추진한다.
광주시는 내년 7월3일부터 광주에서 개최되는 U대회를 저비용 고효율의 ‘경제대회’로 치르기 위해 경기시설 신축 및 개보수 과정에서 예산이 허투루 사용되지 않도록 현미경 점검을 통해 예산을 절감해가고 있다.
대회를 치르기 위해 38개 경기장과 32개 훈련시설 등 모두 70개 경기시설이 필요하나 국제기준에 현저히 미달된 수영장, 다목적체육관, 양궁장, 테니스장 등 4개만 새로 짓고 나머지 66개소는 광주와 전남·북에 있는 기존 체육시설을 최소 비용으로 개보수해 사용키로 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토목, 건축, 전기, 설비, 통신 등 분야별 전문가와 종목별 관계자들이 합동 조사를 해왔으며, 도로포장, 차선도색, 보도정비 등 많은 예산이 들어가는 하프마라톤코스를 21.0975km에서 6.8km 3바퀴로, 20km 경보코스를 500m 20회 왕복하는 것으로 조정했다.
또 대회 유치때 제시했던 축구장 중 담양, 화순, 광양은 잔디교체가 필요없는 보성, 전북 고창, 정읍으로 아예 경기장을 교체해 예산을 절감했다.
FISU와의 협의를 거쳐 경기장 숫자를 최소화했으며 기존 체육시설도 증·개축 없이 꼭 필요한 부분만 개· 보수하기로 했다.
뿐만 아니라 대회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전광판, 발전기, 통신장비 등은 신규 설치나 교체 없이 가급적 임대시설로 대체하기로 했다.
이같은 노력으로 광주하계U대회는 정부로부터 경기시설 확충 및 준비를 위한 사업계획으로 총 4683억 원의 예산을 승인받았지만 신축경기장 낙찰 차액과 양궁장 위치 변경으로 514억을 절감한데 이어, 이번 개·보수공사 실시설계를 통해 추가로 약 913억원 절감해 총사업비 대비 31%인 1427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절감하게 됐다.
광주시는 예산절감 방안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개·보수공사 실시설계를 마치고 오는 11월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