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이 불가피하거나 긴급히 예산이 필요한 경우에 사후승인을 전제로 사용하는 예비비를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게 사용했다는 지적이다.
김옥자 광주광역시의원(광산구제3선거구)은 16일 열린 2013회계연도 광주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결산을 통해 "광주시교육청이 최대전력 관리장치 설치와 방수공사에 예비비를 사용한 것은 예비비를 투입할 만큼 시급한 사항이 아니었다"며 "교육부에서 협조 공문이 왔다고 하더라도 본예산이나 추경에 반영하여 추진하여도 될 사항을 예비비를 사용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고 지적했다.
2013회계연도 광주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결산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은 예비비로 최대전력 관리장치 설치 5억 2949만여원과 방수공사 9억 4288만여원을 사용했다.
예비비는 회계연도 중에 긴급하게 예산이 필요한 사안이 생겼을 때 먼저 사용하고 후에 의회의 승인을 받게 된다.
2009년도에는 신종플루의 유행으로 인해 신종플루 예방 위생물품을 구입했다. 2010년도에는 갑작스레 변경된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거 때문에 사용된 바 있다. 2012년도에는 볼라벤 등 태풍으로 인해 학교시설이 재난피해를 당해 긴급하게 특별재난복구비를 지원하는데 사용했다.
김 의원은 "매년 본예산, 추경예산에 올라오는 것이 방수공사인데, 예비비를 지원해 방수공사를 실시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태풍피해와 같이 누구나 듣기만 해도 이해가 가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예비비를 시설사업비로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