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경제영역에서 '광주정신' 실현 방안이 없다는 지적이다.
광주사회경제연대포럼(이하 포럼)은 4일 보도자료를 통해 "민선 6기 광주시는 ‘광주를 바꾸는 첫 시민시장’을 표방하면서 ‘광주정신’ 구현으로 ‘더불어 사는 광주’를 시정구호로 삼고 있다"면서 "그러나 민선 6기 광주시 조직개편 과정과 결과 및 핵심시정을 볼 때 그 면모는 찾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어 포럼은 "사회적경제 조직체계는 경제패러다임의 재구성임에도, 사회적경제 현장과 소통은 없고, 관중심의 사고·방식으로 일자리창출 수단의 형식적 체계로 조직을 급조했다"며 기대를 걸었던 많은 시민들에게 좌절을 안겨줄만한 것이라고 혹평했다.
또 "그동안 중앙 및 지방정부가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었음에도 사회적 효용과 지역경제, 지역민의 삶의 질에 대한 파급효과는 미미했다"며 "이는 지역민의 삶과 사회적경제 현장중심이 아닌 탁상행정에 의한 피상적 사회적경제에서 비롯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포럼은 ▲사회적경제도시 구현 위한 기획구상·통합·집행체계로 사회적경제기획관과 사회적경제팀을 '전문직 개방형'으로 도입 ▲사회적경제도시 실현 위한 비전 제시 및 중장기 3~5개년 계획 수립 ▲사회적경제 실현을 위해 소통 마련 및 사회적경제협동조직, 마을주민, 사회적경제위원회 등과 소통 기반으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등을 광주광역시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