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동화엔텍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신규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됐다고 18일 밝혔다.
동화엔텍은 1980년에 설립해 선박·플랜트용 열교환기를 국산화한 대표적인 회사로 최근 △LNG 추진 친환경 선박 연료공급시템 (FGSS : Fuel Gas Supply System) △ PCHE Type Heat Exchanger (HP Vaporizer, 수소 충전소 Pre Cooler) △BOG Compressor 등으로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활용 기술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이다.
열교환기는 산업에 필요한 핵심 장비로 동화엔텍은 선박 및 육상 플랜트에 S&T, Fin Tube, Plate Type, S&P, PCHE, PFHE 등 열교환기 분야의 거의 모든 타입을 자체적으로 설계, 제작하는 보기 드문 기술기업이다. 특히 이번에 첨단기술·제품으로 인정받은 ‘고압 LNG용 열교환기’는 육해상 LNG 터미널의 재기화 설비, FGSS의 고압 기화기 등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70%에 달한다.
동화엔텍의 지난해 매출은 2980억 원(2024년 연결기준 3727억 매출)으로 매출의 3%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최근 5년간 연평균 29%의 매출 성장과 110여 건의 국내외 특허 등 지적재산권 등록 성과를 기록했다.
동화엔텍 김동건 대표는 “이번 첨단기술기업 지정 효과로 향후 5년간 100억여 원의 세금 절감을 예상한다”며, “절감되는 세제 혜택을 연구개발비에 재투자해 친환경 기술을 통해 조선산업을 시작으로 산업을 넘어, 세대를 넘어, 대륙을 넘어 인류에 작은 공헌이라도 할 수 있도록 '바르게 제대로' 경영에 임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수소 에너지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연구개발특구는 동화엔텍에 2013년도부터 2018년까지 총 9.5억 원의 정부출연금(총 3개의 과제)을 제공해 열교환기 및 담수 장치 등의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했다.
또한, 2023년도에는 조선 빅 4사(▲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케이조선)가 참여한 연구회를 운영해 삼성중공업과 동화엔텍간의 ‘공동연구 NDA’ 체결을 지원했다.
연구개발특구 관계자는 “첨단기술기업 지정으로 연구개발특구의 R&BD 사업과 연계한 산학연 협력 확대와 다양한 지원을 통해,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 및 해외 진출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동화엔텍이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지속 가능한 친환경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첨단기술기업은 국가 경제 성장동력인 첨단기술·제품의 연구개발과 사업화 역량을 갖춘 기업에 부여되는 자격으로,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의미가 크다. 지정 기업은 세제 감면, 기술금융 지원, 정부·지자체 사업 가점 등 다양한 혜택을 받게 된다.
지정요건은 ▲연구개발특구 내 입주 ▲첨단기술·제품 매출이 총매출액의 20% 이상 ▲연구개발비가 총매출액의 3~5% 이상이다. 이때 첨단기술·제품은 정부 고시에 적합한 기술·제품이거나,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신기술 실증 규제특례제도의 적용을 받은 기술이다.
세제 혜택은 △법인세를 3년간 100%, 이후 2년간 50% 감면, △재산세는 최대 7년간 100%, 이후 3년간 50% 감면, △특구 내 취득세 면제 등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기술평가등급에 따라 보증 한도 최대 20억 원 차등 적용 ▲보증비율 상향(최대 100%) ▲보증료율 감면(최대 0.5%p) 등의 우대조치를 적용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