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 전국 첫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에너지신산업 거점 도약

강서권 중심 스마트그리드 구축 가속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11.05 13:57:16

박형준 부산시장이 5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전국 최초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임재희 기자)

부산시가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 특구)’으로 지정됐다. 5일 오전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는 부산을 비롯해 전남·경기·제주 4개 지자체의 분산 특구 지정을 최종 확정했다. 울산·경북·충남 등 3개 지자체의 사업은 보류됐다. 부산시는 지난 4월 특구 지정을 신청한 뒤, 5월 실무위원회 심사를 거쳐 최종 대상에 올랐다.

분산 에너지 특구는 에너지 사용 지역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 에너지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특구 내 사업자는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전력 시장을 거치지 않고 직접 거래할 수 있다. 중앙집중형 송전망 의존도를 낮추고, 지역 단위 에너지 자립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부산은 이번에 ‘신산업 활성화형’ 특구로 지정됐다. 특구 대상 지역은 에코델타시티,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업단지 등 총 49.9㎢(약 1511만평) 규모다. 시는 이 지역에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을 결합한 스마트그리드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핵심 사업인 ‘ESS Farm’은 2027년까지 250MWh, 2030년까지 500MWh 규모로 단계적으로 설치된다. 이는 약 4만2천 가구의 하루 전력 사용량이자 대형 데이터센터 5곳을 운영할 수 있는 수준이다. ESS는 심야 시간대 저렴한 전력을 저장해 전력 수요 피크 시간대에 방전할 수 있어 전력 효율을 높이고,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출력 제한 문제도 완화한다.

부산시는 기업이 설비를 직접 설치하지 않고 ESS 용량을 ‘구독’ 형태로 사용하는 모델도 도입한다. 시는 이 방식을 통해 기업별 최대 8% 전기요금 절감, 부산 전체 연간 157억 원 절감, 기업 설비 투자비 2,500억 원 절감, 출력 제한 해소에 따른 연 44억 원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시는 이를 반도체·데이터센터·AI기업 등 고전력 수요 산업 유치의 기반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분산 특구 지정은 안정적 전력 공급을 넘어 부산 산업 경쟁력의 새로운 전환점”이라며 “부산을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친환경 글로벌 에너지 허브 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