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강원도, 여름철 수상안전 사망사고 큰폭 감소

비관리 수변지역서 사고 발생해 점검 강화 추진

  •  

cnbnews 정건웅기자 |  2025.11.05 11:20:15

강원도청 전경. (사진=강원도 제공)

(CNB뉴스=정건웅 기자) 강원도는 올해 여름철 도내 하천·계곡과 해수욕장을 찾은 방문객이 코로나19 이후, 역대 최대였음에도 수상안전 사망 사고가 전년 15건 대비 33% 감소한 10건으로 큰폭으로 감소하였다고 발표했다.

특히, 하천·계곡 물놀이 구역으로 지정 운영되는 423개 구역과 해수욕장 개장기간 안전요원이 배치되어 운영되는 86개소 해수욕장에서의 안전사고는 “도 최초로 사망 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한해로 기록”됐다고, 행정안전부 ‘물놀이 안전사고 심사위원회’로부터 심의결과를 지난달 30일 최종 통보받았다.

올해 여름철 평균기온은 25.7℃로 지난해보다 0.1℃ 높아 역대 최고였으며, 6월부터 시작된 더위는 9월 초까지 지속돼 열대야 일수도 최다인 한해를 기록했고, 여름철 해수면 방문객들도 지난해 대비 11.3% 증가한 코로나 19 이후 최다를 기록했음에도, 우리 도는 체계적인 수상안전 관리대책 추진과 유관기관 간의 유기적 협업으로 안전사고가 줄었다.

특히 전국 32% 이상 최다 하천·계곡 물놀이 관리구역 지정운영과 청정 동해안을 보유한 우리 도는 폭염 등 긴 무더위로 인해 도내 하천, 계곡, 해수욕장 등 도내 물놀이 명소를 방문한 국내외 관광객이 크게 증가했음에도 사망 안전사고가 감소한 것은, 수상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지역 맞춤형 ‘2025년 여름철 수상안전 종합대책’을 수립 운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2025년 여름철 수상안전 종합대책’의 주요내용으로 사전대비 기간 중 물놀이 관리지역 423개소 사전점검, 안전표지판 등 노후시설 교체, 구명조끼 무료대여소 확대, 예·경보시설 2,346개소 점검, 물놀이 안전요원 교육을 실시했다.

아울러 늦더위가 올해 9월까지 이어지는 점을 감안해 대책기간을 전년도보다 1개월 연장한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4개월간을 물놀이 안전 사고 대책기간으로 설정해 주요 하천, 계곡, 해수욕장에 안전요원 1,338명을 배치 운영했으며 시군별 마을 예·경보 시설을 적극 활용한 안전사고 예방 홍보방송을 실시했다.

또한 올해 7월 15일부터 8월 17일까지 성수기 기간을 특별대책기간으로 설정해 도내 주요 물놀이 관광지 및 시설에 대하여 특별 점검반을 편성, 주말을 활용하여 17개 시·군과 함께 주요 물놀이 지역을 대상으로 구명조끼 착용 홍보 및 물놀이 안전점검 활동을 집중 전개했다.

한편 올해 수상안전 운영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 사고 10건 중 안전요원이 배치되지 않은 비관리 수변지역에서 사망 사고가 발생한 점에 착안해 내년에도 비관리 수변지역 점검 강화를 위한 안전관리요원 운영지원 예산 및 시군 전담공무원 지정 책임운영제를 확대해 더욱 강화된 수상안전사고 감소대책을 추진할 계획으로 있다.

강원도 여중협 행정부지사는 “올해 길고 긴 여름더위에도 불구하고 도 및 시군, 해양경찰 등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체계적인 수상안전대책 추진으로 안전사고 감소와 물놀이 구역 사망자 ‘제로’의 첫해를 기록할 수 있었다”며 “내년에도 도내 여름철 물놀이 명소를 찾아주시는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안전한 물놀이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