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기자 |
2025.09.03 18:00:37
경남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1일 발표한 2025년 해상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평가 결과,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4개 단지(총 689㎿)가 최종 선정됐으며, 도내 풍력터빈·하부구조물 제작 기업이 대거 참여하게 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 도내 풍력터빈·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제작사, 부품사, 시공사 등의 참여를 통한 생산 유발 효과는 1조 3천억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특히, 풍력터빈은 두산에너빌리티(창원), 유니슨(사천), 하부구조물 제작은 성동조선(통영), SK오션플랜트(고성) 등 지역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4개 사업(단지)별 도내 참여 기업은 △'서남권 시범' 400㎿(위치 전북 고창·부안/사업자 한국해상풍력(주)/터빈사 두산에너빌리티 또는 유니슨(미정)) △'한동·평대' 110㎿(위치 제주 구좌읍/사업자 동서발전·제주에너지공사/터빈사 두산에너빌리티) △'다대포' 99㎿(위치 부산/사업자 한국남부발전·코리오제너레이션/터빈사 두산에너빌리티) △'압해' 80㎿(위치 전남 신안/사업자 한국전력공사·현대건설/터빈사 두산에너빌리티) 등이다.
도는 지난 3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기업 간담회를 개최해 풍력제조산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 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기업의 공통 건의 사항 중 하나인 공공기관 발주 사업에 대한 국산 기자재 우선 구매 등 인센티브 부여를 산업부에 건의했다.
이에 정부는 국산화율에 따른 안보 지표 배점 신설과 정부 연구개발(R&D) 실증 기자재인 국산 터빈 적용 시 전력 단가 우대 적용 등 입찰제도를 개선했다. 그 결과 국산 터빈을 사용하는 공공주도형 신청 4개 사업, 689㎿는 모두 선정돼,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 국산 기자재 사용이 확대되는 발판을 마련했다.
그간 국산 터빈은 해외 선진사 대비 가격·기술 경쟁력 부족으로 국내 시장 점유율이 하락세였으나, 이번 입찰제도 개선으로 두산·유니슨의 10㎿급 국산 대형 풍력터빈이 안정적으로 국내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국내 기술 자립도 제고는 물론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 마련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또한 해외 선진사와 경쟁을 위해 도는 해상풍력 제조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초대형 풍력터빈·핵심부품 국산화 연계 개발 등을 국정기획위에 지속 건의해 국정과제에 반영된 바 있다.
윤인국 도 산업국장은 “이번 성과는 경남이 국내 해상풍력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정부 정책에 맞춰 국내 환경에 적합한 초대형 풍력터빈 및 핵심부품 국산화 개발 등 풍력 관련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해상풍력 산업 발전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