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창원대학교는 교육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 사업’ 신규과제에 첨단나노과학기술연구소 소속 LAMP 포닥 손호기 박사가 최종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 사업’은 국가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학문후속세대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박사후연구원이 우수한 전임교원의 멘토링 아래 독립적인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손 박사가 수행할 과제는 '고효율·고선택도 이산화탄소 전환을 위한 고품질 초저 밴드갭 소재 기반의 광전극 셀 개발'로, 탄소중립과 청정에너지 전환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이산화탄소 전환용 광전극 셀 개발을 주제로 하고 있다.
본 과제는 0.5eV 이하의 초저 밴드갭(ultra-narrow bandgap) 반도체 소재를 개발해 이산화탄소(CO2)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할 수 있는 차세대 광전극 제작을 목표로 한다.
손호기 박사는 “기존의 CO2 전환 방식보다 효율과 선택성이 우수한 시스템을 구현하고, 초저 밴드갭 소재의 실용성과 기술적 확장성을 확보해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손 박사의 멘토인 곽진성 국립창원대 첨단나노과학기술연구소장은 박막 성장 및 에너지 하베스팅 분야에서 쌓아온 다년간의 실험 설계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연구 전반의 방향성과 기술적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곽진성 소장은 관련 분야 JCR 상위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다양한 특허 보유 등 해당 분야의 연구 리더로 평가받고 있다. 곽진성 소장은 “손호기 박사의 도전적인 연구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구 장비, 실험 공간, 연구행정 전담인력 등 다방면에서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립창원대 G-램프(LAMP)사업을 통해 연간 최대 3000만 원의 펠로우십을 지원받고 있는 손호기 박사는 ‘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 사업’을 통해 연간 7000만 원 규모의 연구비를 최대 3년간 지원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