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아이만 낳으면 대학까지 국가가 책임져야”… 김하수 청도군수, 복지정책 성과 속 ‘미래 비전’ 강조

정부평가 2관왕·공모예산 7천억 시대 견인… “언론이 인식 전환의 선봉 돼야”

  •  

cnbnews 신규성기자 |  2025.05.13 11:00:00

  

김하수 경북 청도군수. (사진=청도군 제공)

(CNB뉴스=신규성 기자) “출산은 이제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국가가 책임져야 할 사회적 과제입니다”

김하수 경북 청도군수가 저출산 위기 해법으로 ‘국가 책임형 양육 시스템’을 제안하며, 복지를 중심에 둔 정책 철학과 성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청도군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단순한 출산 장려금이 아닌, 아이를 낳고 대학까지 국가가 책임지는 구조가 필요하다는 그의 주장은, 기존 복지정책의 전환을 촉구하는 강한 메시지였다.

김 군수는 11일 대구·경북인터넷기자협회와의 간담회에서 “아이를 낳고 싶지 않은 것이 아니라, 낳을 수 없는 환경이 문제”라며 “양육 부담을 온전히 국가가 떠안는 구조를 통해서만 출산율 반등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 생애주기 맞춤형 복지 시스템과 병원 동행 서비스 등 실질적 복지정책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청도군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다문화가정 안정 지원, 청년·노인 맞춤형 복지사업 등을 중심으로 복지의 외연을 확장해왔다.

이러한 정책 성과는 외부에서도 인정받아,군은 올해 정부 주관 평가에서 ‘혁신행정’과 ‘적극행정’ 부문 2관왕을 차지했다. 경북 군 단위 자치단체 중 유일한 수상이다.

김 군수의 강점은 정책의 실현력을 뒷받침하는 재정 확보 능력이다. 그의 리더십 아래 공모사업을 통해 연 7,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하며 행정 역량을 입증했다.

그는 “예산은 곧 정책의 추진력”이라며 “주민 삶을 바꾸는 데는 구호보다 실천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책철학의 배경에는 그의 오랜 복지 전문성과 정치적 경륜이 자리한다. 대구대 행정학과와 사회복지학 겸임교수, 대구가톨릭사회복지회 기획실장, 그리고 경북도의원 재선을 거친 그는 “복지만큼은 누구보다 앞서왔다고 자부한다”며 일관된 정책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김하수 군수는 “무엇보다 언론의 역할을 거듭 강조했다. 지자체나 단체장이 아무리 외쳐도 언론이 여론을 형성하지 않으면 국민 인식은 바뀌지 않는다”며 “'아이만 낳으면 국가가 끝까지 책임진다'는 메시지를 언론이 반복적으로 전달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