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안전보건공단, '산재예방 AI 혁신 자문 위원회' 공식 출범

첫 분과회의 개최…AI·데이터 기반 'K-산업안전보건' 체계 구축 선도

  •  

cnbnews 손혜영기자 |  2025.04.04 17:02:00

김현중 이사장(중앙)이 4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산재예방 AI 혁신 자문 위원회'를 공식 출범 후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안전보건공단 제공)

안전보건공단은 4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김현중 이사장을 비롯해 국내 산재예방 및 인공지능(AI)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산재예방 AI 혁신 자문 위원회'를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는 'AI·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산재예방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

◇AI로 안전을 빠르고 정확하게

최근 AI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며 법률, 의료, 제조, 금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도입돼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공공 서비스 영역에서도 생성형 AI의 활용이 확대되며 서비스 수준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산재예방 분야에서도 AI 기술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안전관리의 어려움을 겪는 영세 및 중소규모 사업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최신 AI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AI 전문가들과 함께 산재예방 방안 논의

공단은 산재예방 및 AI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산재예방 AI 혁신 자문 위원회'를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동국대 서용윤 교수가 'AI 시대 산재예방 정책 제언'을 주제로 발제했으며, 부산대 진상은 교수가 '산재예방 분야 AI 도입 현황 및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후 위원들은 'AI 기반의 효율적 산재예방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위원회의 역할과 운영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AI 기반 'K-산업안전보건' 체계 구축 추진

위원회는 향후 분과별 회의를 통해 산재예방 AI 도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실행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또한 AI 기술 및 인프라 확보, 홍보 및 확산 전략 등 자문 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 한다.

아울러 공단은 국내 AI 연구기관, 대학, 기업 협력(MOU)을 통해 기술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최신 AI 기술 도입과 자체 AI 기술 인력 양성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AI로 중소사업장의 부담 줄이고, 근로자는 더 안전하게

김현중 공단 이사장은 “산재예방 AI가 사업주의 안전관리 부담을 덜어주고, 근로자가 현장의 위험 요소를 보다 쉽게 인식해 사고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적극 활용해 산재예방 패러다임을 혁신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대외 협력을 통해 보다 안전한 산업현장 조성에 앞장서겠다”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