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뉴스=장병대 기자) 저출생 극복을 위해 혜안을 모으는 토론회가 지난 17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토론회는 제주형 저출생 대응 정책 마련을 위해 마련했으며, 저출생 문제의 다양한 쟁점 중 ‘청년정책’을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특별히 이날 토론회는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위원장 홍인숙),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박호형), 보건복지안전위원회(위원장 현길호)가 함께 개최해 그 의미를 더했다.
토론회 주제발표는 김형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년정책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과 김수희 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 전문연구위원이 각각 ‘국내외 저출생 정책동향과 청년정책 대응방안’과 ‘제주지역 청년인구 이동특성’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다.
김형주 선임연구위원은 주제발표에서 “청년세대가 현재 자신의 삶과 주어진 사회 환경을 어떻게 보고 있고, 직면할 미래 사회를 어떻게 예상하고 있는지가 청년정책의 근거가 되어야 한다”며 “저출생 문제에 있어 기성세대 중심의 인구 위기의식에 머물기보다 청년세대가 살만한 사회를 위한 견해를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김수희 전문연구위원은 “앞으로의 제주 청년 인구정책은 연령계층별, 읍면동별 인구이동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한 정책 설계 및 정책 추진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저출생 문제와 청년 정책은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청년 자신의 경제활동과 아이 돌봄이 지속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는 신뢰가 기반이 돼야 저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청년 여성 대상 경제활동 지원을 통해 저출생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찾을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한 “일생활균형 지원 제도의 보장과 활성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날 토론회를 주최‧주관한 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의 홍인숙 위원장은 “제주지역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정책마다 청년세대의 목소리를 담아낼 필요가 있다”면서 “지속가능한 미래 제주를 위해 청년의 정주여건 개선 등 다양한 정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