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해상운임 폭등에 수출길 막힌다…부산 중소기업 경쟁력 ‘비상’

부산상의, 부산지역 제조업 물류비 실태 및 의견 조사 발표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01.08 11:46:32

부산상공회의소 전경.(사진=부산상의 제공)

지난해부터 이어진 해상운임 급등세가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부산지역 수출기업들의 수출 경쟁력 약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출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물류비 지원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 확대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8일 지역 주요 제조기업 275개사를 대상으로 물류비 실태와 최근 물류 관련 이슈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부산지역 주요 제조기업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은 평균 6.9%로 전국 수준과 비슷했지만, 기업별로 살펴보면 매출 대비 물류비가 10%를 초과한 기업이 32.4%에 달했다. 특히, 해상운임 부담이 급증한 2023년 말 이후 물류비 부담이 늘었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35.3%로, 부담이 줄었다고 응답한 기업(5.5%)보다 훨씬 많았다.

수출기업의 경우 전체 물류비에서 해상운송이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초과해 해상운임 부담이 더욱 심각했다. 수출 계약의 67.1%, 수입 계약의 54.7%에서 해상운임을 지역기업이 부담하는 구조도 부담 가중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높아진 물류비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 사례로는 납기 지연 및 변동(29.5%), 채산성 상실로 인한 수출 포기 또는 축소(28.0%), 원·부자재 조달 차질(21.8%) 등이 주로 나타났다.

해상운임 부담 완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 방안으로는 ‘직접적인 수출 물류비 지원’이 76.7%로 가장 많이 언급됐다. 이어 물류 창고 등 보관 지원(10.9%), 터미널 반입일 연장(5.5%), 컨테이너 확보 지원(4.4%)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해상운임 전망에 대해서도 기업들은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상화 시점을 2026년 이후로 전망한 응답이 40.9%에 달했으며, 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2023년 대비 약 1,000포인트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점,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불확실한 대외 리스크가 운임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점에 기인한다.

부산상의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해상운임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수출기업들의 피해가 심화되고 있다”며 “특히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부산 지역경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물류비 지원 등 특단의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