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제주도, 돼지열병 항원 오염백신 후속대책 마련

행정, 단체, 농가 등과 공동대응…재발방지 및 농가 피해보상 방안 논의

  •  

cnbnews 장병대기자 |  2024.06.24 20:10:44

돼지열병 오염백신관련 관계기관·단체회의. (사진=제주도 제공)

(CNB뉴스=장병대 기자) 제주도는 지난달 말 도내에서 발생한 양돈용 백신(일본뇌염백신) 돼지열병 오염과 관련해 생산자단체 등과 함께 공동 대응하며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유전자 분석 정밀검사 결과, 오염백신의 돼지열병 항원(바이러스)은 태국 유래 저병원성주(1993년 발생주)와 염기서열 98.7%로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돼지열병 항원(바이러스) 세포배양 후 실시한 PLA 및 IFA 검사에서는 살아있는 바이러스 특유의 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제주도는 24일 오후 도내 관계기관 및 단체, 전문가 등과 대책회의를 열어 정밀검사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조치방안 및 재발방지대책을 논의했다.

도내 양돈 백신 오염과 관련해 해당 종돈장에 대한 이동제한 조치와 문제의 백신에 대한 판매중지 및 긴급회수(589병)를 실시한 바 있다.

또한, 도내 유통 중인 돼지용 백신 12종에 대한 긴급수거검사를 실시해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으며, 해당업체(녹십자수의약품) 생산 양돈용 생독백신의 제주도 반입을 전면 금지했다. 아울러 중앙부처와 백신제조업체에 백신 품질관리 강화를 요청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해당업체에 대해 약사법 제62조 및 제71조 제1항 위반으로 해당 품목에 대한 제조업무정지 3개월 15일의 행정처분을 내렸으며, 현재 약사감시를 시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강재섭 농축산식품국장은 “신속한 방역조치 및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 도내 양돈장의 돼지질병 안전성을 확보하겠다”며 “이번 사태로 발생한 농가 피해사항 및 보상방안 등에 대해 생산자단체와 협의하면서 해당업체에 함께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