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뉴스=장병대 기자) 제주도의회가 행정자치위원회가 지난 28일 제424회 임시회 행정자치위원회 제주시-서귀포시 주요업무보고에서 제주도내 습지 보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부시장에게는 부시장 재임 중 각 1곳의 람사르 습지 추가등록을 위한 노력을 주문했다.
이날 강철남 위원장은 람사르 습지로 등록된 국내 25개 지역 중 5개가 제주에 위치해 있지만, 제주도내 곳곳에 산재해 있는 습지들이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사라지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일례로 애월읍 어음1리에 있었던 공세미 연못의 경우, 2017년 소하천 정비사업시 시멘트 매립으로 연못을 비롯한 하천습지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지난해에는 애월읍 신엄리 마을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습지복원에 나섰던 윤남못 인근에 물류창고를 짓기 위한 건축허가가 신청돼 논란이 일기도 했다.
강철남 위원장은 우리 주변을 잘 살펴보면 보전 가치가 높은 비양도 펄랑못 등 여전히 제주에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가능한 습지가 많다면서 양행정시가 보다 적극적인 조사와 보전대책을 강조했다.
제주도 차원의 습지에 대한 조사는 내륙습지의 경우 7년전인 2014년, 연안습지의 경우 23년전인 2001년이 마지막 이였다.
한편 강철남 위원장은 양 행정시 부시장에게 부시장으로 재직기간 동안 각자 1곳의 람사르 습지를 추가 등록시킨다는 각오로 뛰어 달라고 주문했다.
람사르 습지는 지형·지질학적으로 희귀하고 독특한 습지 유형이거나, 생물 서식처로서 보전 가치가 높아 국제적인 보전이 필요한 지역을 람사르 협약 사무국이 인정한 곳으로 올해 2월 2일 세계 습지의 날을 맞아 문경 돌리네 습지가 우리나라 25번째 람사르 습지로 등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