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경대-팜캐드-부산시 등, 양자컴퓨팅 기반 양자이득 도전연구 사업 선정

대학-기업-지자체 컨소시엄 총 30억 5000만 원 투입해 사업 추진

  •  

cnbnews 심지윤기자 |  2023.05.25 13:56:11

부경대 대학본부와 한어울터 전경. (사진=부경대 제공)

국립부경대학교와 팜캐드, 부산광역시 등 대학과 기업, 지자체 컨소시엄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2023년도 양자컴퓨팅 기반 양자이득 도전연구 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양자컴퓨팅 활용 혁신사례를 창출해 양자 생태계를 조성하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총 5개 과제가 이번 사업공모에 선정됐다.

부경대 등 컨소시엄은 '혁신 항암제 개발에서의 양자 이득: 비정형 단백질 구조 예측을 위한 양자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연구과제로 선정, 2025년까지 국비 27억 5000만 원과 시비 3억 원 등 총 30억 5000만 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한다.

컨소시엄은 부경대 우상욱 물리학과 교수가 연구책임자를 맡고, 우 교수가 대표로 있는 인공지능 신약개발기업 팜캐드를 주관으로 부경대와 카이스트, 부산시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등 대학, 기업, 지자체가 참여해 양자컴퓨팅 활용을 통한 혁신 기술 개발에 나선다.

양자컴퓨팅은 기존 컴퓨터의 기본단위인 비트가 아닌 중첩 특성을 가진 큐비트를 활용하는데, 연산 처리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이번 사업 선정에 따라 부산 기업인 팜캐드는 항암제 신약 개발을 위한 비정형 구조 단백질 자료의 검증 및 사업화를 맡고, 부경대는 한영선 컴퓨터‧인공지능공학부 교수를 중심으로 양자회로의 성능 향상을 위해 최적화된 양자컴퓨터 컴파일러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카이스트는 양자컴퓨터 소프트웨어‧알고리즘 개발 및 양자 이득 원리 규명‧시연을 맡고, 부산시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은 시비 예산확보와 양자 기술 기업체를 지속해서 발굴하고 확산하는 역할을 맡아 지원에 나선다.

팜캐드 대표 우상욱 부경대 교수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긴밀한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산업 현장의 수요에 최적화된 양자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해 양자컴퓨팅 활용 분야의 경쟁력 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