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교육위원회 박채아 의원(경산)이 지난 21일 도교육청 행감에서 지역 교육지원청 갑질 고충 사건의 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담당자의 인식 부재에 문제를 제기했다.
박 의원은 “작은 지역의 특성상 갑질, 폭언, 모욕 등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이 발생하면 적극적으로 신고할 수 없는 환경적 특성이 있다”며 “특히 기간제 근로자의 경우 생계 수단인 직장에서 혹시 받을지 모르는 불이익 때문에 선뜻 신고하기가 힘들다. 이번 모 지역도 지원청의 담당자와 상담을 1시간가량 진행했지만 결국 접수하지 않은 것은 이런 배경적 특성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담당자는 본 의원이 요청한 경위서에 ‘피해자가 정식으로 민원을 접수 의사를 밝히지 않아 사건 처리하지 않았다’고 기술했는데 상담 내용이 상당히 구체적이고 피해 사실이 가볍지 않은 점을 봐서는 ‘인지사건’으로 적극적인 조사 및 조치가 이뤄졌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는 해당 공무원이 각종 민원 및 고충상담의 업무에 있어 전문성이 부족한 점과 그 미비점을 보완해줄 조직 차원의 검토 및 논의 과정이 부재한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고 꼬집었다.
박채아 의원은 “앞으로 관련 고충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그 업무 처리의 전문성, 매뉴얼, 신고센터 등의 재정비와 업무 담당자의 소양 교육을 통해 신고접수 외에도 인지 조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보강해 수요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해결방안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