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젤이 중국 의약품감독관리국(NMPA)로부터 HA필러 ‘더채움(수출명 Persnica, 중문명 붜안룬 铂安润)’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휴젤 측은 새롭게 진출하게 된 HA필러 시장은 2020년 약 9500억원(49억 위안) 규모에서 오는 2023년 약 1조 9300억원(100억 위안), 2025년 약 3조원(157억 위안)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휴젤은 높은 잠재 시장 가치를 보유한 중국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선점을 목표로 지난 2020년 10월 국내 기업 처음으로 중국 톡신 시장의 품목허가를 획득한 데 이어, 같은 10월 HA필러 제품에 대한 품목허가 신청서도 제출했다. 이후 지난해 2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 (수출명 Letybo)’의 성공적인 현지 시장 진출을 마쳤으며, 이번 HA필러에 대한 품목허가 획득으로 국내 기업으로서는 유일하게 중국 톡신 시장 및 HA필러 시장에 모두 진출했다고 설명했다.
휴젤은 오는 3분기 HA필러의 현지 론칭을 앞두고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 전개를 위한 마지막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현재 휴젤을 포함해 세계 4개 업체만이 허가를 보유하고 있는 보툴리눔 톡신 시장과 달리 중국의 필러 시장에는 약 20개 업체, 제형별로 30개 이상의 제품이 진출해 치열한 경쟁이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지 시장에 최적화된 마케팅 활동 전개를 통해 후발주자로서의 입지를 빠르게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HA필러 더채움의 현지 유통 및 마케팅 활동은 보툴렉스와 마찬가지로 현지 파트너사 사환제약이 담당한다. 사환제약은 중국의 대형 제약사로 현지 최적화된 마케팅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고, 앞서 진출한 보툴렉스를 통해 촘촘한 유통망도 구축하고 있어 휴젤 HA필러의 보다 빠른 현지 시장 안착을 도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와의 시너지를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휴젤은 주요 소비층을 겨냥한 마케팅 활동도 준비 중이다. 중국 필러 시장은 보툴리눔 톡신 시장과 마찬가지로 2030대가 주요 소비층인데, 윤곽시술에 대한 관심이 높은 현지 타겟의 수요에 맞춰 관련 시술 테크닉 개발부터 이를 토대로 한 학술 콘텐츠 개발까지 중국 의료진 및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뛰어난 제품력 대비 합리적인 가격 책정으로 신규 론칭 브랜드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의 높은 진입 장벽도 낮춰 나갈 계획이다.